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급증하는 브랜드와 다양한 소비자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심리적·감성적 욕구 만족을 원하는 감성 소비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마케팅 방안으로 VMD의 색채 감성 표현이 중요시 된다. 특히 현대 중국의 패션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SPA 패션 브랜드는, 빠른 트렌드 변화에 반응하는 SPA 브랜드의 특성과 함께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감성 표현에 집중하고 있다. VMD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SPA 패션 브랜드의 브랜드 공간에 적용된 소비자의 심리적이고 감성적인 충족을 가져올 수 있는 VMD의 색채감성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공간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VMD의 공간적 구성요소와 VMD 색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색채조화론과 공간디자인 관점에서의 색채감성요인을 도출하였다. VMD의 공간적 구성요소와 색채감성요인을 구조화한 브랜드 공간 분석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북경 서단 지역에 있는 글로벌 SPA 패션 브랜드로 범위를 한정하여 브랜드 공간을 사례분석 하였다. (결과) 첫째, 브랜드 공간의 VMD 공간요소 대부분이 난색조로 연출되어 상품의 다양한 색채를 부각시키기 위해 공간적으로 시각적 부드러움과 편안함 부여를 위한 고명도와 저채도의 유사범위의 색상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둘째, 대량 생산과 판매를 목표로 하는 SPA 패션 브랜드 전략으로의 VMD의 색채감성요인은, 색채조화론 관점에서 명도, 채도에 의한 질서성과 유사성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다양한 범위의 색상을 포인트로 사용하며 시각적 감성을 자극하는 브랜드 공간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셋째, 공간디자인 관점에서의 VMD 색채감성요인은 공간의 접근성과 편안성을 중점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는데 이는 동일하고 유사한 색채 연출을 통한 심리적 접근성을 통해 공간으로의 유입을 유도하며 감성적 편안함을 공간 속에서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를 통해 VMD의 색채감성요인은, 브랜드 공간에서의 공간디자인을 통한 소비자 중심의 감성 충족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브랜드 공간, VMD, 색채감성요인(色彩感性要因), 글로벌 SPA 패션 브랜드, 중국

참고문헌(16)open

  1. [학술지] 백민영 / 2014 / 패션브랜드 매장의 VMD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2 (1) : 283 ~ 292

  2. [단행본] Cho, Yoona / 2009 / Gokaikeul Hannoone Salojabneun Sangeobgonganeui VMD Design Marketing / Idam Books Press

  3. [학위논문] Kim, Youngmi / 2010 / 백화점 여성 의류매자의비주얼머친다이징에 대한 시각적 반응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4. [단행본] Kang, Haejak / 2013 / Color Design For Interior Architecture Space / Kimoondang Press

  5. [학술지] 구희경 / 2015 / SPA 브랜드별 TRIZ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요소의 해석 - TRIZ와 텍스타일 디자인의 융복합 관점으로 본 원리를 중심으로 - / 한국과학예술포럼 22 : 23 ~ 33

  6. [학위논문] 이다은 / 2013 / SPA 브랜드의 VMD 연출에 관한 연구 : UNIQLO, ZARA, H&M 중심으로

  7. [학술지] 이미숙 / 2014 / 패션 판매공간의 VMD 구성요인이 브랜드 선호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글로벌 SPA브랜드 중심으로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 (4) : 120 ~ 128

  8. [학술지] 이민아 / 2014 /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 특성이 적용된 브랜드 스페이스 사례 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15 (1) : 431 ~ 443

  9. [학위논문] Lee, Sunhye / 2014 / 상품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색채공감각 연구-프리미엄 식품관 VMD 디자인을 중심으로

  10. [학술지] 오정아 / 2015 / 유통환경별 글로벌 SPA 브랜드 매장의 VMD 특성에 관한 연구 - 단독매장과 쇼핑센터 내 임대매장을 중심으로 -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14 (2) : 105 ~ 120

  11. [학술지] 박정은 / 2015 / VMD 색채 적용에 따른 감성 어휘의 평가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18 (4) : 431 ~ 452

  12. [단행본] Seock, Chonghwan / 2012 / Colorist / Yerim Press

  13. [학술지] Song, Hyeonji / 2013 / SPA 브랜드 매자의 감성디자인 요소분석-명동소재 SPA 브랜드 매장 피팅룸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5 (1) : 180 ~ 185

  14. [학위논문] 왕방 / 2011 /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가 중국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5. [학위논문] Wu, Xinhui / 2014 / 중국 패스트 패션 브랜드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16. [학위논문] Yoo, Sooyeon / 2014 / 백화점 VMD 디자인 구성 요소의 색채특징에 관한 연구- 국내 3대백화점 여성의류 VMD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