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도시민을 위한 공원 환경측정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도시민 만족을 위한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Park Environment Measurement Model for Citizens -Focused on the Applicability for Citizens' Satisfac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약어 : -
2014 vol.9, no.4, pp.129 - 138
DOI : 10.35216/kisd.2014.9.4.129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06 회 열람

(연구배경 및 목적) 지속적으로 도시민의 요구수준에 대응하여 도시민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시민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도시공원의 환경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을 중심으로 공원환경 측정모델 개발을 위한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연구방법)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공원 환경 측정 모델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측정요소와 측정 분석방법, 측정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측정요소는 총 8가지로 도출하였다. 측정 분석방법은 거주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육각형(hexagon) 그리드를 활용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룰(Rule)에 의해 지속적인 측정, 분석, 조정이 가능한 측정시스템을 수립하였다. 마포구 상암동을 대상지로 하여 측정모델을 검증하였다. (결과) 도시공원 환경 측정모델은 8가지 측정요소를 통해 도시민과 도시공원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환경요소를 측정할 수 있으며, 지자체의 의사결정 도구로써 활용가능하다. 따라서 도시민을 위한 측정모델로써 적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Study Background and Purpose) To continuously respond to citizens’demand for improvements,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urban park environment for appropriate interactions among community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idea of developing an urban park environment measurement model focusing on citizens. (Method)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of smart parks, directions for the measurement model of the urban park environment were established; additionally, measuring factors, analysis methods, and systems were proposed. Eight measuring factors were identified. For the measuring analysis method, a hexagon grid around a highly dense habitation area was provided. A measuring system that would continually measure, analyze, and adjust by rule was established.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with Sangam-dong in Mapo-gu. (Results) The eight measurement factors incorporated into the model are sufficient to evaluate environmental factors creat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citizens and the urban park. In addition, the model can be used as a decision-making tool for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model as a measurement model for citizens.

도시민 만족, 도시공원, 환경측정모델
Citizens' Satisfaction, Urban Park, Environment Measurement Model

  • 1. [단행본] Uk Kim / 2012 / Digital Amenities of a Smart City / Intech
  • 2. [학술지] 최재문 / 2011 / 서비스 네트워크 기반의 도시공간활성화 방안 연구 / 한국정보기술융합연구 / 3 (2) : 1 ~ 2
  • 3. [학술지] 김억 / 2014 / 지능형도시의 디지털 어메니티를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9 (1) : 85 ~ 1 kci
  • 4. [보고서] 이상민 / 2013 / 도시공원 정책 수립을 위한 공원평가모델 개발 연구
  • 5. [보고서] / 2009 / U-가로·공원 공간 서비스 구축기술 연구 3차년도연구개발계획서, 국토해양부 주관 U-Eco City R&D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