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근대산업유산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e Application of Conversion Design for Utilizing the Unused Spaces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약어 : -
2013 vol.8, no.1, pp.85 - 96
DOI : 10.35216/kisd.2013.8.1.85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2 회 열람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혁명 이후 시대적 필요에 의해 생겨났던 근대산업유산은 현시대가 요구하는 기능에 부응하지 못하고 소멸되거나 노후화된상태로 방치 되어 있다. 근대산업유산의 유휴공간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오면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잠재되어 다각적인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을 위한 컨버전 디자인의 활용방안의 이론적 고찰과 해외 선진 컨버전 디자인 활용사례를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통해 자생적 재생과 종속적 재생으로 추출하고 각 사례들을 이 둘의 활용방안을 토대로 역사적 시간성, 장소적 통시성, 공간적 지속성, 효율적 근접성 이라는 공간적 재생특성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결과) 컨버전 디자인 활용방안은 지역 정체성과, 문화적, 경제적 활성화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이 근대산업유산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 디자인 활성화에 대한 연구는 향후 효율적인 공간으로 변모시켜 나아가 도시재생발전의 사회적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 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and Purpose)Modern industry emerged from the needs of the times because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did not meet the functions demanded by the present age, and modern people were left in a superannuated state. Because the now idle factory spaces were created at times when they played important economic and social roles in local communities, their reuse should be approached from multilateral perspectives. (Method)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onversion designs for urban reutilization and the use cases of advanced conversion designs overseas. Autonomous and dependent reuses are drawn from the research, and each study case is evaluated from the aspects of historical temporality, locational diachrony, spatial sustainability, and efficient proximity based on the two reuse methods previously mentioned. (Result)The conversion design utilization measure is found to be a critical factor in the aspects of regional identity, culture, and economic vitalization. A study on the promotion of conversion design utilizing the modern industrial inheritance is expected to supply data on transforming idle spaces into efficient spaces. Further, such a study could be used for urban regeneration and redevelopment.

도시재생, 유휴공간, 컨버전디자인
Urban Regeneration, Idle Spaces, Conversion Design

  • 1. [단행본] 도시재생사업단 /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이야기 / 한울출판사
  • 2. [학위논문] Scott Dmel / 1996 / A Theory of Architectural Additions
  • 3. [단행본] 마루타 하지메 / 2011 / 장소론 - 웹상의 리얼리즘과 로맨티시즘 / 심산출판사
  • 4. [단행본] Austin Richard L. / 1988 / Adaptive Reuse: Issue and Case Studies in Building Preservation /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 5. [학술지] Cramer Johannes. / 2007 / Architecture in existing fabric planning design building / Birkhauser
  • 6. [학위논문] 高希姃 / 1996 / 轉換개념에 의한 歷史的 建築物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 7. [학위논문] 김아람 / 2011 / 경영교육인증제도의 정당성 확립 과정에 대한 연구 : 제도화 이론을 중심으로
  • 8. [학위논문] 박태우 / 2011 / 근대건축물의 공간 재활용에서 시간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국내 근대건축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 9. [학위논문] 송지연 / 2010 /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본 유휴공간의 문화적 활용에 관한 연구
  • 10. [학위논문] 이다운 / 2011 /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프로그램 특성 및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11. [학위논문] 조연주 / 2011 /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 문화공간으로 컨버전한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 12. [학위논문] 최준 / 2010 / 도시 근대 산업유산의 문화적 재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아트팩토리 조성 운동을 중심으로
  • 13. [학술지] 강동진 / 2003 / 산업유산의 개념과 보전방법 분석 / 국토계획 / 38 (2) : 7 ~ 2 kci
  • 14. [학술지] 김준연 / 2012 / 도시재생사업의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방향성 제고에 대한 연구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7 (3) : 167 ~ 3 kci
  • 15. [기타] 고흥길 / 2008 / 문화자원의 재활용 방안 : 공간자원 활용 중심으로 / 제278회 정기국회국정감사 정책 자료집
  • 16. [보고서] 신성희 / 2009 / 인천지역 근대산업유산의 문화적 재활용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