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8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예술인들이 생각하는 예술의 가치를 탐색하고 예술경제로써 예술에 관한 질문과 예술가가 느끼는 예술인 복지법에 관한 필요와 인식을 연구하기 위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의 주제에 관하여 연구절차는 존 러스킨의 예술경제이론과 국가 별 예술복지제도에 관한 고찰과 사례연구로서 연구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순수 예술가들을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로서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통해 반 구조화된 질문으로 예술가로 경험과 생각을 진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10년 이상의 직업으로서의 예술가로 정체성을 가지는 전업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국내와 국외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예술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계에는 특수한 아비투스가 있고 예술가들은 예술 행위를 실현한다는 것에 그들이 지닌 사명감이나 가치실현을 우선으로 한다는 것이 직업으로서 예술가 활동을 지속하는 이유가 된다. 둘째, 순수 예술을 한다는 것은 예술 ’행위’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포함한다고 보기에 예술 활동이 노동시장에서 예술 경제로써 정당하고 타당한 예술의 소비재의 기능이 정상 가동되도록 예술가의 역할과 인식조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예술인과 외국에서 활동하는 예술인의 예술인 복지 인식 비교에서 우리나라 예술인 복지법은 다소 절차가 까다롭고 최하위 계층임을 증명해야 하는 등의 실효성 면에서 어렵다는 인식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제언으로 예술계의 아비투스를 이해하고 반영하여 실효성 있는 예술인 복지법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of art that artists think, and to study the questions about art as an art economy and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artists welfare laws felt by artists. Regard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dure is a qualitative case study by selecting pure artists who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s a case study and an examination on John Ruskin’s art economy theory and national art welfare system, and FGD(Focus Group Discussion)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s so that I can state my experiences and thoughts as an artis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rtists based in Korea and abroad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full-time artists who have an identity as an artist as a profession for more than 10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pecial habitus in the art world, and the reason artists continue their artistic activities as a profession is that they give priority to the sense of mission or value they have in realizing the artistic act that they have cultivated throughout their lives. Second, since performing pure art implies that the ’act’ of art itself includes social valu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ole and awareness of the artist so that artistic activity is justified as an art economy in the labor market and the proper functions of art consumer goods are normally operated. Third, there was a perception that the Korean Artist Welfare Act was difficult in terms of effectiveness, such as a rather complicated procedure and the need to prove that it was the lowest class in the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artist welfare between artists working in Korea and those working abroad.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n effective artist welfare law by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the habitus of the art world as a future suggestion, and describ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예술인 복지제도 고찰
Ⅲ. 질적사례연구
Ⅳ. 맺는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09-001154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