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9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사기』는 현재까지 동아시아 역사서술의 전범으로 알려져 있는 사마천의 대작이다. 이후 동아시아 왕조들의 역사서술의 기준을 제시하고 역사가의 임무가 객관적인 사실 서술과 도덕적 평가의 기준을 제시해야 하는 것임을 확립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사기』의 완성이 한 무제 시기에 이루어졌고, 사마천과 한 무제 사이에 얽힌 애증의 관계를 고려할 때, 『사기』가 전적으로 제국의 출현 시점에서 이전 역사를 총정리하고 제국 출현의 역사적 필연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공자로부터 출발하는 역사서술의 전통이 ‘의리’의 규준에 따라 도덕적 평가와 교훈을 제시하는 것이 되었지만, 사마천의 의도는 전통과 현재의 접점을 찾기 위한 작업이었고, 그 과정에서 이율배반적인 성과를 만들어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던 것일 수 있다. 그것은 한 제국의 탄생과 통치구조가 지닌 자기모순과 사마천과 제국황제와의 모순된 관계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사마천은 황제의 사적 폭력과 제국의 국가폭력을 모두 정당한 것으로 합리화하기 위해서 역사서술의 기준으로서 ‘의리’의 규준에 따라 어떻게 사적 폭력과 공적 가치의 보존이라는 두 가지 모순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그 근거로 「자객열전」과 「유협열전」을 제시했다. 그것은 사적 폭력행사가 공적 가치와 목표로 환원될 수 있는 단서를 개인의 이야기로 구성함으로써 의론의 부담에서도 벗어날 수 있는 해결책이었다.
『사기』는 제국의 통치자가 보여주는 사적 동기에 의한 자의적인 폭력사용이 제국지배와 질서로 합리화될 수 있다 할지라도 ‘의리’에서 일탈한 불합리한 선택일 수 있으며, 거꾸로 제국 지배와 질서에 부합하는 어떠한 행위도 그 동기의 사사로움과 상관없이 정당한 것으로 합리화해야 한다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에 대해 접점을 찾아내 새로운 정의의 규준을 세우려는 고도의 정치적 작업이었던 것이다.

Shiji is a masterpiece by Sima Qian; it is a well-known example of East Asian History literature. It established the concept that the mission of a historian is to present a standard of objective factual description and moral evaluation. However, the love–hate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Sima Qian and Emperor Han Wu reveals that the sole aim of Shiji was not clarifying history but presenting the historical inevitability of the Empire’s emergence.
It is conjectured that Sima Qian’s intention was to identify the interfa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during this process, he faced a situation where he had to produce an antinomic justification. This situation resulted from the birth of an empire that withheld a self-contradictory governing structure and relationship with Sima Qian and the Imperial emperor.
Sima Qian adopted the story of assassins and chivalry to hint that private violence could be a feedback to public justice. Shiji exemplified a highly political effort to identify the interface of an antinomic situation where any act conforming to imperial rule and order should be rationalized regardless of any prevalent private motiv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황제와 국가폭력의 정당성
Ⅲ. 폭력의 성화(聖化): 정치적 영웅 만들기?
Ⅳ. 공사(公私)의 모호한 경계: 협(俠)의 정치적 전화(轉化)
Ⅴ. 제국을 위한 변명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