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용 자기수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초등학생 93명과 초등상담교육 전문가 8인에게 자기수용에 관한 개방형 설문을실시하였다. 아동·전문가 개방형 설문 분석을 통해 자기수용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를바탕으로 50문항의 문항 초안을 제작하였다. 문항 초안에 대하여 초등교사 3인에게 안면타당도를 검증받고, 초등상담교육 전문가 5인에게 내용타당도를 2회에 걸쳐 검증받았다. 이 과정을 통해 46문항의 예비 검사를 제작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생 5, 6학년 258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다. 경쟁모형과의 적합도 비교를 통해 자기수용의 4요인 구조를확정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본 검사 18문항을 도출하였다. 타당화를 위해 초등학생 5, 6학년 266명에게 본 검사 및 준거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문항은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확인되었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 자존감, 주관적 안녕감, 우울, 불안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준거타당도를 확인되었다. 본 척도는 문항들은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와 표현들로 이루어져 있고, 적은 문항 수(18문항)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측정이 가능하므로 자기수용 수준 확인 및자기성찰의 도구로 쉽고 간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처음으로 개발 되고 타당화한 자기수용 척도로서 추후 아동 대상 자기수용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아동, 자기수용, 자기수용 척도, 척도개발

참고문헌(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