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1950년대 중반 이후 농림/농업고등학교에서의 농악(農樂) 교육이 한국농악 현대사에 끼친 영향과 의의

Impact and significance of Nongak(農樂) education in Agricultural High School since 1950 on the modern Korean Nongak History

공연문화연구
약어 : -
2020 no.40, pp.111 - 136
DOI : 10.35150/korear.2020..40.004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연구분야 : 예술일반
Copyright © 한국공연문화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1 회 열람

해방이후 국가적 초기화 상황과 다를 바 없는 국면에서 ‘민족주의’는 정부에 의해 혼돈과 분열의 상황을 극복하고 사회적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이념적 도구로 선택되었고, 많은 전통예술 그 중에서도 ‘민속예술’은 ‘민족예술의 정수’로 상징화되었다. 이와 함께 농악, 민요, 민속놀이, 무용 등과 같은 기층의 예술양식들이 이전의 지역 공동체사회의 문화적 전통보다 더 확장된 사회-국가로 불려나오게 되고, 그에 부응한 여러 사회문화적 현상이 잇따르게 되는데, 그 영향이 학교 교육의 범주에서도 발견된다학교 안에서의 국악-민속예술 교육이 촉발되어 농악을 비롯하여 민속무용, 민속음악 등이 전문예술인들의 지도 하에 교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수되게 된다. 그로 인해 전문 민속예술인 양성을 목적으로 한 마땅한 교육기관이 극소수에 불과했던 당대에 농악인재를 양성하는 역할을 대행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런 현상은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보다 실업목적형 학교인 농림고/농업고에서 두드러진다. 그리고 그 교육성과는 당대를 넘어서 현재의 농악 전승 현황에 이르기까지 영양분을 공급하며 각별히 한국 근현대농악사에 여러 유의미한 사실들을 낳았다. 본 글은 세 지역 농림고/농업고의 농악부 운영 실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현재의 한국 농악 전승 국면과 어떤 사실관계에 있으며, 그에 대한 농악사적 의의와 시사점을 규명한다.

Agricultural high schools are undergoing a change their name from the mid-1950s to the 2000s. Although it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case, it has been changed from ‘rural forests’ to ‘agricultural farms’ or ‘agricultural industries’ and ‘life sciences high schools’ in turn. In several aricultural high schools had managed Nongak Department(class), it’s guarantees the continuity of Korea’s traditional folk art. Examples include entertainment and farming in Honam region of Jeonju aricultural high School in North Jeolla Province, Geumsan aricultural high School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Gimcheon aricultural high School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and significance of studies should follow. This method of Nongak education in modern school institutions is a new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Nongak after modern time, the emergence of a whole new pattern of professional entertainment Nongak after paving and Female-Nongak, as well as local traditional folk music. Education here was conducted in such a way that the best performers of the time were invited as guidance teachers among traditional folk artists. Thus, various local and professional music and entertainment were able to be promoted Apart from the social relations of delay, social progress, and economy, the education of farming and music, which consist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public schools, has provided an environment where unlimited freedom is allowed for art forms. In other words, the conditions for a new performance style experiment and creative fusion were met, an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musical performers who had acquired individualized talents from previous generations was laid down in the context of the phenomenon of active stage music and theater performance of outstanding in the culture of Nongak. In other words,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aricultural high school was a very free space compared to other communities’ and economic community’s agricultural music in social relationships bound by traditional cultural customs. This is why they have created a new style of performance through a new experiment and a different traditional performance repertoire, and their activities have led to a more stylistic expansion from traditional farming. More importantly, the figures who came across Agricultural Nongak department became the main experts of traditional Korean folk music nowdays. Thus, Nongak Department, operated by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High School, was a space where would give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Nongak history.

한국 민속예술, 농악, 농악사, 농림고등학교, 농업고등학교, 농악교육, 농악부, 민속예술경연대회, 전주농고, 금산농고, 김천농고, 금산농악, 김천 금릉빗내농악, 학교농악 등
Korean Folk Arts, Nongak(農樂), Nonglim High School, Agricultural High School, Nongak education, Korean Folk Art Contest, Jeonju Agricultural High School, Geumsan Agricultural High School, Kimcheon Agricultural High School, Geumsan Nongak, Kimcheon Guemneung Binnae Nongak, Hakgyo Nongak(School Nongak)

  • 1. [단행본] 김익두 / 1994 / 호남우도풍물굿 /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 2. [단행본] 김익두 / 1994 / 호남좌도풍물굿 / 전북대 박물관
  • 3. [단행본] 김헌선 / 2016 / 금릉빗내농악 / 민속원
  • 4. [단행본] 양진성 / 2016 / 임실필봉농악 / 민속원
  • 5. [보고서] 이보형 / 1982 / 전라북도 국악실태조사
  • 6. [보고서] 이보형 / 1982 / 전라남도 국악실태조사
  • 7. [기타] 전라북도 / 2004 / 전라북도 농악․민요․만가 / 전라북도청
  • 8. [단행본] 전인삼 / 1992 / 금산농악 / 금산문화원
  • 9. [단행본] 금산군지편찬위원회 / 1969 / 금산군지 / 광명인쇄공사
  • 10. [단행본] 금산군지편찬위원회 / 1987 / 금산군지 / 오광인쇄주식회사
  • 11. [단행본] 금산문화원 / 1987 / 금산좌도농악 / 금원출판사
  • 12. [단행본] 김선태 / 2004 / 전북우도풍물 전승과 '여성농악단'의 역할 / 신아출판사
  • 13. [단행본] 김익두 / 2013 / 한국 민족공연학 / 지식산업사
  • 14. [단행본] 김택규 / 1991 / 금릉민속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15. [단행본] 김헌선 / 1991 / 풍물굿에서 사물놀이까지 / 귀인사
  • 16. [단행본] 김헌선 / 2014 / 한국농악의 다양성과 통일성 / 민속원
  • 17. [단행본] 전북예총사 편찬위원회 / 2000 / 전북예총사 / (사)한국문화예술총연합회 전북지회
  • 18. [단행본] 정병호 / 1986 / 농악 / 열화당
  • 19. [단행본] 정인삼 / 2011 / 사진으로 보는 우리 농악 100년 / 보고사
  • 20. [단행본]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 2009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문화체육관광부
  • 21. [학위논문] 권은영 / 2003 / 여성 농악단 연구
  • 22. [학술지] 권은영 / 2008 / 여성농악단을 통해 본 근대 연예농악의 양상 / 실천민속학 연구 / 11 : 197 ~ kci
  • 23. [학술지] 김헌선 / 2013 / 김천 빗내농악의 얼개와 의의 / 풍물굿연구 / 2
  • 24. [단행본] 김헌선 / 2013 / 김천농악의 재조명 / 김천농악보존회
  • 25. [학술지] 박혜영 / 2013 / 근현대 김천빗내농악의 전승맥락과 별신굿의 문화적 전통 / 풍물굿연구 / 2
  • 26. [학술지] 석대권 / 2013 / 경북농악과 빗내농악의 위상 / 풍물굿연구 / 2
  • 27. [학술지] 손태도 / 2013 / 조선 후기 절걸립패와 빗내풍물의 변화 / 풍물굿연구 / 2
  • 28. [학술지] 양옥경 / 2013 / 금산농악 판굿에 대한 민족음악학적 해석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 35 : 139 ~ kci
  • 29. [학술지] 양옥경 / 2014 / 호남 우도농악 판굿의 시대적 변이에 관한 연구: 호남 우도농악 판굿 공연 자료를 중심으로 / 무용역사기록학 / 34 : 143 ~ kci
  • 30. [학위논문] 양옥경 / 2014 / 호남 우도농악 판굿의 음악구조와 구성원리
  • 31. [학술지] 양진성 / 2008 / 공연집단의 성격과 지향에 따른 좌ㆍ우도 농악의 변별성 - 좌도 필봉농악과 우도 정읍농악을 중심으로 - / 공연문화연구 (16) : 209 ~ 16 kci
  • 32. [학술지] 양진성 / 2013 / 호남 우도 풍물굿 명인들의 활동 양상과 예술사적 의미-쇠잽이·장구잽이를 중심으로 / 풍물굿연구 / 2
  • 33. [학술지] 이병학 / 2013 / 빗내농악의 전승과 활동 / 풍물굿연구 / 2
  • 34. [단행본] 이보형 / 1978 / 한국의 민속예술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 35. [단행본] 정병호 / 1986 / 농악 / 열화당
  • 36. [학술지] 조정현 / 2001 / 풍물 판굿의 역사적 전개와 기능변화 / 실천민속학연구 / 3
  • 37. [인터넷자료] / 국가기록원
  • 38. [인터넷자료] / 금릉빗내농악보존회 홈페이지
  • 39. [인터넷자료] / 금산군청 홈페이지
  • 40. [인터넷자료] / 김천시청 홈페이지
  • 41. [인터넷자료] / 전주시청 홈페이지
  • 42. [인터넷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43. [단행본] 사전편찬위원회 / 음악용어사전 / 일신서적출판사
  • 44. [기타] 충청남도 문화재위원회 / 2003 / 금산좌도풍물-도문화재 지정신청자료
  • 45. [단행본] 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 1991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1권 / 민족문화사
  • 46. [단행본]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회 / 2011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민속원
  • 47. [단행본] 한국민속박물관 / 2016 / 한국민속문화예술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