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110.jpg
KCI등재 학술저널

『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의 일본 전래와 계승의 의미

『大日經供養次第法疏私記』를 중심으로

  • 40

본고에서는 신라 승려 不可思議가 찬술한 『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의 사상사적 가치가 시간이 흘러도 유효하였음을 알아보았다.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는 8세기 중반에 불가사의가 『대일경』의 한역자이자 그의 스승인 善無畏로부터 『大日經』의 마지막 7권에 해당하는 供養次第法에 대하여 직접 묻고 기록한 저술이다.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는 공양차제법에 대한 유일한 주석서이자, 一行의 『大毘盧遮那成佛經疏』와 더불어 『대일경』에 대한 첫 주석서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를 사상적으로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는 기록이 부족하여, 관련한 연구를 진전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본으로 시각을 돌려 불가사의의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의 전승과 그 이해 태도를 검토하였다. 특히 13세기 일본 승려 宥範이 찬술한 『大日經供養次第法疏私記』 8권은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 전체에 대한 주석서로서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저술이기 때문에 그 체제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는 찬술된 직후 空海와 常暁등에 의해 일본에 전해졌으며, 이후 14세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學僧들에 의해 『대일경』 및 『대일경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로도 관심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유범은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의 위상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불가사의가 제시한 해석법을 존중하였다. 또한 불가사의와 마찬가지로 진언행자를 위한 해설에 중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검토 결과는 8세기 신라 승려에 의한 밀교 이해 방식이 유효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Commentary of Mahāvairocana-Sūtra s Rites‘s(『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intellectual values, written by a monk of Silla, Bulgasaui(不可思議) in the 8th century. It had a huge impact on Japanese monks until the 14th century. Commentary of Vairocana-Sūtra s Rites was written by the monks Bulgasaui of Silla. Bulgasaui directly asked Mahāvairocana-Sūtra(大日經) s translator and his teacher, Śubhakarasiṃha(善無畏), for the meaning of the Mahāvairocana-sūtra Vol.Ⅶ, and recorded Śubhakarasiṃh s response. Bulgasaui s Commentary of Mahāvairocana-Sūtra s Rites is very valuable because it is the only annotation on the Mahāvairocana-sūtra Vol.Ⅶ and the first annotation on the Mahāvairocana-sūtra with Illhaeng(一行) s Commentary of Mahāvairocana-Sūtra(大毘盧遮那成佛經疏). However, since there is no record of ideological inheritance of Bulgasaui s commentary, there is a limit to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Bulgasaui s Commentary. Therefore, in this article, I changed my perspective to Japan. Therefore, I examined the Transmission of the Bulgasaui s commentary to Japan and examines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Bulgasaui s commentary in Japan. In particular, The Individual Commentary of Bulgasaui s Commentary of Mahāvairocana-Sūtra s Rites(大日經供養次第法疏私記) of 13th-century Japanese monks, Yubum(宥範) is commentary on the entire Bulgasaui s Commentary.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writing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Bulgasaui s Commentary. So I studied the system and features of the book.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ulgasaui s Commentary was introduced to Japan in the 8th century and many studies on the Bulgasaui s Commentary were carried out by various scholar monk until the 14th century. Yubum valued Bulgasaui s Commentary and respected how the Bulgasaui interpreted the Mahāvairocana-sūtra Vol.Ⅶ. He also focused on the description for the performer of practice of esoteric Buddhism, like Bulgasaui.

Ⅰ. 들어가는 말

Ⅱ. 일본의 『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전래와 이해

Ⅲ. 『大日經供養次第法疏私記』의 성격과 의미

Ⅳ.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