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허드슨 테일러(J. Hudson Taylor, 1832-1905)가 1865년에 설립한 중국내지선교회(CIM)가 중국교회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그들의 선교사역 시기에 태평천국의 난, 의화단사건, 반(反) 기독교운동, 중국의 공산화와 같은 위기가 있었다. 이 위기 중에 많은 선교사가 희생되었고, 또 어떤 선교사들은 중국에서 강제로 추방당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중국교회의 역사 가운데 있었던 위기의 상황들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현재의 위기 상황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찾을 것이다. 한국교회는 1990년대 이후에 새롭게 시작된 중국 선교사들의 사역을 통해 그동안 많은 성과를 얻은 경험이 있다. 그러나 사실 중국 선교사들은 중국선교의 역사가 교훈해 주는 바와 같이 실제 중국선교 현장에서 발생한 다양한 위기를 피할 수는 없었다. 무엇보다도 2018년에 시행된 중국 신(新)종교사무조례는 중국 선교사들이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가장 강력한 위기의 요인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국 정부의 신(新)종교사무조례의 시행이 수많은 선교사가 입국거부, 비자발급 거부, 추방과 같은 형태로 비자발적인 철수를 하게 된 결정적 이유임을 밝히려고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이 어려운 위기 상황 속에 있는 중국 선교사들이 불투명한 미래로 인하여 절망하거나 혹은 어쩔 수 없이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로의 전략적 재배치를 선택하고 있는 상황들을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중국 선교사들이 어떻게 이 위기를 극복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 그리고 이 위기상황 이후에 어떤 전략을 가지고 중국선교에 다시 도전할 것인지를 모색할 것이다. 나아가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GMS * 이 연구는 박사학위(Ph.D.) 청구논문의 일부를 수정 및 보완한 것이다. GMS는 1998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교단 총회에서 교단 내 선교 기구와 선교부를 통합하고 확대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세계선교회 (Global Mission Society of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를 조직할 것을 결의하여 설립된 교단 선교단체이다. 2021년 3월 현재 2,566명의 선교사가 101개 국가에서 복음전파를 위한 사역을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장로회 합동 교단의 선교부를 GMS라는 약칭으로 사용하였다. https://gms.kr/bbs/content.php?co_id=114. GMS. 2021. 3. 6 접속. 중국선교의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할 것이다. 특별히 중국선교 역사 속에서 이루어진 토착화 선교의 의미와 함께 현재 GMS 중국 선교사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토착화 선교의 내용을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는 중국 선교사들이 앞으로 어떤 형태의 중국선교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실제적인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키워드

중국내지선교회, 종교정책, 위기, 비자발적 철수, 중국선교, 선교전략

참고문헌(26)open

  1. [학술지] 곽덕환 / 2019 / 시진핑 시대 중국특색사회주의의 전망 / 동아인문학 (47) : 531 ~ 553

  2. [학술지] 권형재 / 2016 / 미전도 종족 선교를 위한전문인 선교에 관한 연구: 전문인 선교와 영성 / 개혁논총 37 : 67 ~ 92

  3. [학술지] 고영은 / 2019 / 중국 시진핑 정권의 권력 구조와 종교정책에 관한 연구 / 신학과목회 51 : 185 ~ 208

  4. [학술지] 김광성 / 2019 / 중국의 종교정책이 한국교회의 중국선교에 미친 영향: 기독교 중국화에 대한 선교실천적 대응 / 선교와신학 (48) : 43 ~ 81

  5. [학술지] 김광성 / 2019 / 19세기 말-20세기 초 한중 양국에서 발생한 민중운동에 미친 개신교 선교신학의 영향 고찰 : 대한민국의 3·1운동과 중국의 5·4운동 및 의화단운동을 중심으로 / 복음과 선교 46 (2) : 85 ~ 124

  6. [학술지] 김성민 / 2016 / 시진핑 지도부의 사회-경제 정책과 그 선교적 함의 / 복음과 선교 35 (3) : 47 ~ 75

  7. [단행본] 김성욱 / 2010 / 현대 평신도 전문인선교 / 프라미스키퍼스

  8. [기타] 김한성 / 2020 / 다음 사역을 준비할 때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가? / 다음 사역 준비세미나

  9. [학술지] 류성민 / 2007 / 중국종교학의 현재와 미래*― 중국의 종교정책과 종교연구 ― / 종교연구 (48) : 61 ~ 97

  10. [학술지] 마민호 / 2019 / 모순론의 관점에서 종교중국화정책이 기독교에 미치는 영향 / 복음과 선교 48 (4) : 173 ~ 214

  11. [단행본] 정병관 / 2009 / 도시교회 성장학 / 총신대학출판부

  12. [학술지] 조혜영 / 2016 / 중국 기독교 발전에 대한 이론 고찰 - 포스트모더니즘시대 사회 공공 영역 문제에 부쳐 / 중국문화연구 (31) : 75 ~ 97

  13. [학술지] 최진호 / 2019 / 선교사 입국 거절 상황과 대응_한국교회를 중심으로 / 선교와신학 (47) : 77 ~ 117

  14. [단행본] Conn, Harvie / 2006 / 도시목회와선교 / 기독교문서선교회

  15. [단행본] Taylor, Dr. / 1952 / Hudson Taylor and The China Inland Mission / Lutterworth Press

  16. [단행본] 傳先偉 / 2007 / ‘基督教的中国化’历程中所折射的若干问题的思考 / 宗教文化出版社 : 382 ~ 391

  17. [단행본] 闞保平 / 2015 / 基督教中國化研討會論文集 / 中國基督教兩會出版部 : 2015 ~ 2041

  18. [단행본] 梁家麟 / 1999 / 改革开放以来的中国农村教会 / 建道神学院

  19. [단행본] 刘同苏 / 2012 / 观看中国城市家庭教会 / 基文社

  20. [단행본] 饒以德 / 2016 / 跨越三个世纪的传运动1865-2015 / 宇宙光 : 359 ~ 384

  21. [단행본] 袁 瑒 / 2016 / 跨越三个世纪的传教运动1865-2015 / 宇宙光 : 91 ~ 111

  22. [단행본] 桌新平 / 2015 / 基督教中國化 研討會論文集 / 中國基督教兩會出版部 : 36 ~ 40

  23. [인터넷자료] / 법무부 출입국 통계

  24. [인터넷자료] / 종교사무조례

  25. [인터넷자료] / GMS

  26. [인터넷자료] / 世界華人福音事工聯絡中心, 世界华福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