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김구용 시인은 산업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작동한 대한민국 사회의 근대성 원리를 서사적 시 형식과 공간표상에 의해 효과적으로 상징화하였다. 특히 『시(詩)』에 수록된 수편의 산문시는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후반, 재건과 성장에 박차를 가하던 서울 공간을 표상한다. 본 논의에서는 「불협화음의 꽃 2」, 「꿈의 이상」, 「소인」 등 『시』에 수록된 산문시를 분석하여 당시 서울을 구획해 가던 근대 이데올로기와 그 문학적 반영을 근대 도시 공간이라는 층위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50년대 후반의 서울은 2~30년대의 경성 혹은 산업화가 완료된 90년대 후반기의 서울과 사뭇 다른 공간 규범 아래 놓여 있었다. 한국 전쟁은 대한민국 전체에 정치 문화적 변화와 물리적 파괴를 가해 구성원들의 일상을 급격히 해체했다. 이러한 충격은 서울의 ‘공간 구조’와 ‘장소성’ 뿐 아니라 구성원의 내면과 생활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50년대 서울을 배경으로 한 『시』는 전후 폐허 위에 적용된 공간구성 방식을 주체 내면의 풍경으로 환치시켜 드러낸다. 대상 작품들은 ‘나’와 여러 주변 인물이 등장하며 사건발생에 따라 시간 흐름과 공간 변화가 뚜렷하다는 서사적 특징을 갖고 있다. 중요한 포인트에서 사건을 이끌고 전환하는 서사적 요소들은 정제된 시 형식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강한 공간성을 만들어낸다. 『시』의 작품들은 도시와 도시적 삶을 형성하고 움직이는 중요 원리가 근대성의 규범이며, 인간 실존과 세계관 또한 공간 구획에 영향 받음을 보여준다. 인식의 파편성이 지각의 파편성으로 이어지는 지각 구성 방식은 농업공동체 파괴, 탈향과 전쟁, 근대화의 엄청난 속도감을 겪어내던 당시 서울 시민들의 보편적 지각 방식과, 익명성을 즐기지만 한편으로 불안에 휩쓸리도록 만드는 구성원들의 공간경험을 묘사한다.

키워드

산업 자본주의, 산문시, 근대성, 공간표상, 배치, 실존공간, 규범공간

참고문헌(22)open

  1. [단행본] 게오르그 짐멜 / 2005 /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 새물결

  2. [단행본] 김구용 / 2000 / 문학전집, 시(詩) / 솔출판사

  3. [단행본] 김구용 / 2000 / 문학전집, 인연 / 솔출판사

  4. [단행본] 김구용 / 2000 / 김구용 문학전집, 구용일기 / 솔출판사

  5. [단행본] 강인철 / 1999 /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및 문화의 변화, In 한국현대사의 재인식 7─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 / 백산서당

  6. [단행본] 김덕영 / 2007 /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풍경 11가지 / 길

  7. [단행본] 발터 벤야민 / 2005 / 아케이드 프로젝트 1 / 새물결

  8. [단행본] 발터 벤야민 / 2009 / 일방통행로 사유이미지 / 길

  9. [단행본] 서울특별시사 편찬위원회 / 1983 / 서울육백년사 5 / 서울특별시

  10. [단행본] 손정목 / 1996 /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 일지사

  11. [단행본] 앙리 르페브르 / 2011 / 공간의 생산 / 에코리브르

  12. [학술지] 염복규 / 식민지근대의 공간형성─근대 서울의 도시계획과 도시공간의 형성․변용․확장 / 문화과학 39

  13. [단행본] 울리히 벡 / 2006 /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 새물결

  14. [단행본] 유종호 / 1995 / 불모의 도식─1975년의 시, In 유종호 전집 1 비순수의 선언 / 민음사

  15. [단행본] 이무용 / 2005 / 공간의 문화정치학: 공간, 그곳에서 생각하고, 놀고, 싸우고, 만들기 / 논형

  16. [단행본] 이성욱 / 2004 / 한국 근대문학과 도시문화 / 문화과학사

  17. [학술지] 이현재 / 2008 / 매춘의 도시지리학과 공간생산을 위한 투쟁 / 사회이론 (33) : 111 ~ 131

  18. [학술지] 장세훈 / 2002 / 전쟁과 도시화─한국전쟁 전후 서울의 도시화를 중심으로 / 도시연구 8

  19. [단행본] 정승교 / 2001 / 서울의 인구현상과 주민의 자기정체성, In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 [학술지] 정인숙 / 2011 / 국문학 분야 도시 연구의 동향과 전망 / 도시인문학연구 3 (1) : 287 ~ 310

  21. [학술지] 최혜실 / 1996 / 1930년대 도시 소설의 소설공간 / 현대소설연구 5

  22. [단행본] 홍신선 / 2000 / 현실중압과 산문시의 경향, In 김구용 문학전집1 시(詩) / 솔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