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외국인 증권투자행태 변화와 시사점

Shifting Patterns of the Foreign Investment in Korean Stocks and Bonds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국제금융연구
약어 : -
2016 vol.6, no.1, pp.49 - 94
DOI : 10.34251/ifadoi.6.1.201605.003
발행기관 : 한국국제금융학회
연구분야 : 경제학
Copyright © 한국국제금융학회
173 회 열람

본고는 2000년대 중반이후 외국인 주식 및 채권 투자행태가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실증 분석한다. 2006년 이후 주별 시계열을 사용하여 수익률(국내외 장기 및 단기 금리차) 및 위험도(선진국 및 신흥국 위험지표)를 설명변수로, 외국인 증권(주식+채권)순매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단일선형모형을 이용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GFC)를 유일한 투자행태 변환점으로 가정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GFC 이후 기간에서 경제일지 및 통계적으로 유의한 구조적 변환점을 찾아 네 개의 하부 표본을 적시하였다. 각 표본별로 외국인 주식과 채권순매수 모형을 OLS와 GMM으로 추정했다. 위험도 변수들이 더 유의한 패턴을 보였으나 표본에 따라 금리차도 유의성을 보였다. 주식과 채권순매수가 동조화 되는 표본에서 설명변수들이 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2015년 11월 이후 2.5개월 기간을 이용하여 표본 외 예측 (out-of-sample)을 하여 모형의 예측력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how the investment patterns of foreign investors in Korean stocks and bonds have changed since the mid 2000s. Linear equations of foreign net purchases of stocks and bonds were estimated using weekly data since 2006 of the following variables; market risk measures of emerging and advanced economies, and interest rate spreads of both long- and short-term interest rates of Korea and the US, and the won-dollar exchange rate. The Bai-Perron method was applied to endogenously identify three structural breaks in the linear relationship over the whole sample period, unlike most empirical analyses that assume an exogenous break in the investment relationships around 2008. An identical model was estimated from each sub-samples employing both OLS and GMM. Risk measures remain significant more consistently across different samples than other explanatory variables. Explanatory variables were uniformly more significant in the sample in which foreigners’ net purchases of Korean securities showed a tighter co-movement. The end of sample period since November 2015 was used for an out-of-sample dynamic forecast exercise to evaluate the predictive power of select models.

외국인 주식투자, 외국인 채권투자, 글로벌 금융위기, 구조적 변화
foreign investment in stocks, foreign investment in bonds, global financial crisis, structural break

  • 1. [학술지] 김승원 / 2010 / 외국자본유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금융경제연구 (421)
  • 2. [보고서] 김영도 / 2012 / 외국인 채권 매매의 비대칭적 결정 요인
  • 3. [보고서] 김정한 / 2010 / 외국인 국내채권 투자의 결정요인 분석
  • 4. [보고서] 김준한 / 2014 / 외국인 투자자가 외환시장과 주식시장 간 유동성 동행화에 미치는 영향
  • 5. [학술지] 김홍기 / 2010 / 자본이동성과 경제성장 / 한국경제의 분석 / 16 (1) : 33 ~ 1 kci
  • 6. [학술지] 박대근 / 2006 /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채권 보유비중 결정요인 연구 / 금융연구 / 11 (2) : 105 ~ 2 kci
  • 7. [학술지] 박종연 / 2015 /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외국인의 채권투자 결정요인 분석: 잔존 만기별, 출신 지역별 순매수를 중심으로 / 기업경영연구 / 22 (3) : 45 ~ 3 kci
  • 8. [보고서] 박하일 / 2012 / 자본자유화 이후 한국의 자본이동 행태
  • 9. [보고서] 성태윤 / 2011 / 원/달러 변동성 증대의 결정요인 분석
  • 10. [학술지] 송치영 / 2010 / 해외자본 유출입의 경기순응성과 파급경로 / 한국경제연구 / 28 (4) : 5 ~ 4 kci
  • 11. [학술지] 양양현 / 2008 / 차익거래 유인과 외은 지점 및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에 관한 분석 / 조사통계월보 : 55 ~
  • 12. [학술지] 원승연 / 2009 / 외국인의 채권 투자 결정요인과 영향에 대한 연구 / 경제학연구 / 57 (3) : 31 ~ 3 kci
  • 13. [보고서] 윤덕룡 / 2009 / 해외자본이 한국채권 및 파생시장에 미친 영향과 정책시사점
  • 14. [보고서] 윤덕룡 / 2009 / 해외자본이 외환과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금융시장 및 경상수지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 15. [학술지] 윤원철 / 2006 / 단기 이자율의 동태성 추정 및 옵션가격 결정 : 한국과 미국의 CD 금리를 대상으로 / 금융연구 / 20 (1) : 1 ~ 1 kci
  • 16. [학술지] 이연호 / 2013 / 외국인의 주식투자 행태와 금융시장 불안전성: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연구 / 31 (3) : 145 ~ 3 kci
  • 17. [보고서] 임태훈 / 2014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가간 자금흐름 분석과 시사점
  • 18. [학술지] 정재식 / 2012 / 외국인 자본유출입 특징과 국내금융시장의 파급효과 / 시장경제연구 / 41 (2) : 41 ~ 2 kci
  • 19. [학술지] 조갑제 / 2013 / 2007~2008년 금융위기 기간에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주식시장에 미친 영향 / 한국경제학보(구 연세경제연구) / 20 (1) : 65 ~ 1 kci
  • 20. [학술지] 허찬국 / 2014 /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국내 금리, 환율, 자본유입에 미치는 영향분석 / 한국경제연구 / 32 (3) : 49 ~ 3 kci
  • 21. [보고서] Ahmed, A. / 2013 / Capital Flows to Emerging Market Economies: A Brave New World?
  • 22. [학술지] Bai, J. / 2003 / Computation and analysis of multiple structural change models /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 18 (1) : 1 ~ 1
  • 23. [보고서] Bernanke B. S. / 2011 / International Capital Flows and the Return to Safe Assets in the United States, 2003-2007
  • 24. [학술지] Bertaut, C. / 2012 / ABS Inflows to the United State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 88 (2) : 219 ~ 2
  • 25. [학술지] Burger, J. D. / 2007 / Foreign Participation in Local Currency Bond Market / Review of Financial Economics / 16 (3) : 291 ~ 3
  • 26. [학술대회] Cho, D. / 2013 / Effects of Quantitative Easing on Asia: Capital Flows and Financial Markets / Prepared for the Bank of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2013
  • 27. [학술지] Forbes, K. J. / 2012 / Capital Flow Waves: Surges, Stops, Flight, and Retrenchment /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 88 : 235 ~
  • 28. [보고서] Fratzscher, M. / 2011 / Capital Flows, Push Versus Pull Factor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29. [학술지] Ghosh, A. R. / 2014 / Surges /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 92 (2) : 266 ~ 2
  • 30. [학술지] Hansen, B. / 2001 / The New Econometrics of Structural Change: Dating Breaks in U.S. Labor Productivity /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 / 15 (4) : 117 ~ 4
  • 31. [학술지] Hansson, M. / 2009 / International Bond Diversification Strategies:The Impact of Currency, Country, and Credit Risk / European Journal of Finance / 15 (5-6) : 555 ~ 5-6
  • 32. [학술지] Huh, C. / 2015 / Linkage between US monetary policy and emerging economies: the case of Korea’s financial market and monetary policy /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 Science / 4 (3) : 1 ~ 3
  • 33. [보고서] Jain-Chandra, S. / 2012 /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under Capital Inflows: Evidence from Asia
  • 34. [보고서] Miyajima, K. / 2014 / Spillovers of US unconventional monetary policy to Asia: the role of long-term interest rates
  • 35. [보고서] Morgan, P. / 2011 / Impact of US Quantitative Easing Policy on Emerging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