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보행지체와 보행안전성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기준 연구

Criteria Analysis for Scramble Crossings considering Pedestrian Delay and Safety

교통연구
약어 : 교통연구
2020 vol.27, no.4, pp.33 - 45
DOI : 10.34143/jtr.2020.27.4.33
발행기관 : 한국교통연구원
연구분야 : 국제/지역개발
Copyright © 한국교통연구원
39 회 열람

보행자의 안전과 보행지체 향상을 위하여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 기준을 판별할 때 차량지체만을 주요 변수로 설정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설치기준은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의 궁극적 목적인 보행자의 안전과 보행지체 개선 측면을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보행지체, 차대사람 상충횟수, 차량지체, 차대차 상충횟수 개선율을 함께 고려하는 MOE를 구성하여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의 효과를 시뮬레이션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는 보행지체 감소 효과와 차대사람 상충횟수 감소에 따른 보행자 안전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MOE는 변동폭이 큰 상충횟수와 차량지체에 주로 영향을 받았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차량 통행량에서는 운영이 지양되는 구간도 판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기준은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를 모두 고려하고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의 목적에 부합하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pedestrian safety and pedestrian delay, the usage of scramble crossing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past few years. However, previous studies that deal with Measure of Effectiveness (MOE) for scramble crossings tend not to consider factors such as pedestrian safety and delays. These installation criteria are limited since they cannot measure the improvement perspective of pedestrian safety and pedestrian delay, which are ultimate goals of scramble crossing. The following paper proposes an improved MOE that considers the following factors: delays in pedestrian crossing time, delays in driving, number of vehicle-to-vehicle conflicts, and number of vehicle-to-pedestrian conflicts. Simulations of pre- and post-installation of scramble crossings on an intersection were used to measure the previously mentioned factors.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installation of scramble crossings contributed to the decrease of pedestrian delays and the decrease of number of conflicts. The MOE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conflicts (vehicle-to-vehicle, vehicle-to-pedestrian). From the analysis, due to the high number of vehicle-to- vehicle conflicts and high levels of congestion, identifying conditions that do not operate the scramble crossing was possible. Thus, the proposed MOE has been proven to be an effective installation criterion as it considers factors of pedestrians and those of vehicles.

대각선 횡단보도, 보행자 지체, 보행자 안전, 상충횟수, VISSIM, SSAM
Frequency of Conflicts, Pedestrian Delay, Pedestrian Safety, SSAM, Scramble Crossings, VISSIM

  • 1. [기타] 국토해양부 / 2013 / 도로용량편람
  • 2. [학술대회] 김강휘 / 2007 / 대각선횡단보도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 57 : 502 ~
  • 3. [학술대회] 김형수 / 2011 / 대각선횡단보도 설치에 따른 교차로사고감소효과 분석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 65 : 217 ~
  • 4. [학술지] 남찬우 / 2019 / 교통량과 보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기준 정립 방안 연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18 (6) : 60 ~ 6 kci
  • 5. [인터넷자료] /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상세통계
  • 6. [기타] 배민욱 / 2019 / 서울시, 대각선 횡단보도 240개로 확대…시간·요일제 신호 검토 / 뉴시스
  • 7. [기타] 도로교통공단 / 2008 / '07. 지역별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
  • 8. [학술대회] 박정훈 / 2013 / SSAM과VISSIM 모형을 활용한 상습정체교차로 개선 평가 연구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 68 : 219 ~
  • 9. [학술지] 손규홍 / 1997 /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대한교통학회지 / 15 (2) : 105 ~ 2
  • 10. [학술지] 윤일수 / 2011 / SSAM을 이용한 신호교차로 안전성 평가(감응식 교통제어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10 (6) : 1 ~ 6 kci
  • 11. [학술지] 장수은 / 2010 / 메타분석을 통한 보행통행의 시간가치 추정 연구 / 교통연구 / 17 (1) : 13 ~ 1 kci
  • 12. [학술대회] 전진우 / 2009 /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설치기준 개발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 60 : 719 ~
  • 13. [학술지] 정도영 / 2017 / 교차로 유형별 대각선횡단보도 설치효과 분석 (차량소통측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19 (3) : 71 ~ 3 kci
  • 14. [학술대회] 조한선 / 2005 / VISSIM을 이용한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차량 및 보행자 교통량에 따른 민감도 분석 / 대한교통학술대회지 / 49 : 359 ~
  • 15. [기타] 한국개발연구원 / 2008 / 도로 ․ 철도 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 ․ 보완 연구
  • 16. [보고서] 한상진 / 2009 / 녹색성장 지원을 위한 보행교통의 사회적 가치 평가방안 : 50
  • 17. [학술지] 한여희 / 2011 /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타당성 검토를 위한 효과분석 과정 수립 / 대한교통학회지 / 28 (4) : 73 ~ 4 kci
  • 18. [학술지] Jiawei Wu / 2017 / Determ ine if VISSIM and SSAM could estimate pedestrian-vehi cle conflict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Journal of Tran sportation Safety & Security / 10 : 5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