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8.82
18.217.8.82
close menu
KCI 등재
한식뷔페 레스토랑의 건강메뉴정보 및 메뉴정보관여도에 관한 연구
Consumers’ perception of healthy menu inform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menu information involvement: The case of Korean buffet restaurants
문혜영 ( Moon Hyeyoung ) , 함선옥 ( Ham Sunny )
UCI I410-ECN-0101-2019-000-001011604

국내 외식시장에서 한식뷔페 레스토랑은 한식의 건강성과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뷔페레스토랑의 결합으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으며, 고객들이 인식하는 메뉴의 건강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식뷔페 레스토랑에서 표기되고 있는 다양한 메뉴정보에서 고객들이 지각할 수 있는 건강메뉴정보 속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건강정보속성과 메뉴정보 관여도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객의 특성에 따라 메뉴정보관여도의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한식뷔페 레스토랑 이용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총 550 부를 배포·회수 하였으며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520 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여 기술 분석 및 상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과제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뷔페 레스토랑에서 고객들이 지각하는 건강메뉴정보 속성은 유기농 및 친환경 식재료 표기, 주 재료의 지역표기(제주 옥돔), (자연적, 저칼로리식)조리법 표기(황토가마 구이), 영양정보(1 일 비타민권장량, 미네랄함유 등), 제철(계절) 표기, 주 재료의 농가표기(서산 함○○농가)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뉴정보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레스토랑 고객일수록 건강메뉴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셋째,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중 교육수준 및 월평균 소득의 요소가 레스토랑의 메뉴정보 관여도와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nsumers perceive the healthy food attribute information presented on the menu boards of Korean buffet restaurants and how food information involvement is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of healthy food information on the menus. The survey contained the constructs of the importance of healthy food attribute information(6 items) and food information involvement(4 items) of the menus in Korean buffet restaurants, measur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method, from 520 customers of Korean buffet restaurants. Correlations, cross tabulation, and chi-square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First, the most important healthy food attribute information presented on the menu boards in Korean buffet restaurants was the use of organic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e, followed by the origin of the primary ingredients, cooking methods used, nutritional information, seasonal items used, and the farm names of the primary ingredients. Second, customers who had higher food information involvement gave more importance to healthy food attribute information. Third, those who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or income showed higher food information involvement in restaurants.

Ⅰ. Introduction and literature review
Ⅱ. Methods
Ⅲ. Results
Ⅳ. Conclusions and Discussions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