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95.121
3.137.195.121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청소년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for Social Anxie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석지은 ( Seok Ji Eun ) , 이소연 ( Lee So Yean )
DOI 10.20993/JEBD.34.3.11
UCI I410-ECN-0102-2019-300-001115075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의 여러 정서·행동장애 중 사회불안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대해 연구해온 축적된 연구물을 종합하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분류하고 각 요인 내에서의 주요 변인들을 확인하고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보며, 연구마다 이질적인 효과크기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아동,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주제로 2002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127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286).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나누어 변인군별(개인, 가족, 또래) 효과크기를 산출 및 비교하였으며, 산출된 효과크기의 이질성 검증을 위해 메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군 별로 사회불안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모두 개인 관련 변인군이 가장 효과크기가 컸으며, 그 다음으로 또래 관련 변인, 가족 관련 변인 순으로 효과크기가 컸다. 변인 별 분석 결과, 개인 관련 위험변인군에서는 내현적 자기애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개인 관련 보호변인군에서는 자기수용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내 관련 변인군의 효과크기의 높은 이질성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가족 관련 보호변인군의 효과크기가 연구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또래 관련 위험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측정도구와 척도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ggregated the studies that had been conducted on relevant variables affecting social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were grouped, the main variants within each factor were identified, the relative importance was identifie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ifferent effect sizes which appeared in each study. To do this,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of 127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2 and 2017 on a topic of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for social anxie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divided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effect size by variable group (individual, family, peer) and conducted a meta-ANOVA analysis to verify the heterogeneity of the calculated effect size. Comparing the effect sizes on social anxiety by groups showed that individual variables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peer - related variables and family-related variables. Comparing the effect sizes by variable groups showed that covert narcissism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individual - related variables within risk factors and self acception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individual - related variables within protective factors. Lastly,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tes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high heterogeneity with effect size of the related variable group in the risk factor and the protective factor, the effect size of the protective variable group related fami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Also, the effect size of the risk variable related pe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ools and the scale typ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