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4.150
3.12.84.150
close menu
KCI 등재
부적강화와 도피-회피조건형성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Review on Negative Reinforcement and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이승희 ( Lee Seunghee )
DOI 10.20993/JEBD.34.1.4
UCI I410-ECN-0102-2019-300-001113319

부적강화와 도피-회피조건형성은 행동수정 관련문헌에서 흔히 언급되는 용어이지만 그 개념 및 관계에 대한 내용은 다소 혼란스럽게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용어의 개념을 각각 관련문헌들을 통해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비교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두 용어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부적강화의 개념을 (ㄱ) 부적강화의 정의, (ㄴ) 부적강화와 도피조건형성의 관계, (ㄷ) 부적강화의 형태, (ㄹ) 부적강화의 혐오자극 명칭과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도피-회피조건형성의 개념은 (ㄱ) 도피-회피조건형성의 정의, (ㄴ) 도피-회피조건형성과 도피조건형성의 관계, (ㄷ) 도피-회피조건형성의 관련 이론, (ㄹ) 도피-회피조건형성의 혐오자극 명칭과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다음, 부적강화와 도피-회피조건형성의 개념을 (ㄱ) 정의, (ㄴ) 도피조건형성과 회피조건형성의 관계, (ㄷ) 관련 학습이론, (ㄹ) 혐오자극의 명칭과 특성, (ㅁ) 표적행동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적강화와 도피-회피조건형성의 관계를 (ㄱ) 정의, (ㄴ) 도피조건형성과 회피조건형성의 관계, (ㄷ) 관련 학습이론, (ㄹ) 혐오자극의 명칭과 특성, (ㅁ) 표적행동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논의한 후 부적강화와 도피-회피조건형성을 별개의 구분되는 행동수정기법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terms of negative reinforcement and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are commonly referred in the literature on behavior modification but the contents of their concepts and relation are somewhat disorganiz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reinforcement and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comparison of their concepts. To to this, first, the concept of negative reinforcement was reviewed in terms of a) definition of negative reinforcement, b) relation between negative reinforcement and escape conditioning, c) types of negative reinforcement, and d) name and characteristic of aversive stimulus in negative reinforcement and the concept of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was reviewed in terms of a) definition of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b) relation between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and escape conditioning, c) theories related to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and d) name and characteristic of aversive stimulus in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And then, the concepts of negative reinforcement and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were compared in five aspects of a) definition, b) relation between escape conditioning and avoidance conditioning, c) related learning theories, d) name and characteristic of aversive stimulus, and e) target behavior. Finally, after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reinforcement and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in five aspects of a) definition, b) relation between escape conditioning and avoidance conditioning, c) related learning theories, d) name and characteristic of aversive stimulus, and e) target behavior, a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It is desirable that negative reinforcement and escape-avoidance conditioning are considered separate and distinguishable methods of behavior modification.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부적강화와 도피-회피조건형성의 개념
Ⅲ. 부적강화와 도피-회피조건형성의 관계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