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수피이슬람의 사상과 신비주의적 교의 -인식체계와 수행양식-

Ideology of Sufi Islam and It’s Mysticism -Recognition and Practice-

철학∙사상∙문화
약어 : -
2020 no.33, pp.274 - 297
DOI : 10.33639/ptc.2020..33.014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34 회 열람

이슬람의 역사에서 순니 이슬람 법학파가 이슬람 사회를 강력하게 제도화하는 과정에서 세속화와 정치화에 대한 정화운동이 신비주의적 교의를 표방하며, 초기부터 활성화 되었다. 수피주의도 이 시기에 제도권 밖에서 일반무슬림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해 나갔다. 결국, 제정일치의 국가권력 체제를 갖춘 순니와 쉬아 이슬람이 수피주의의 교의를 포용하게 되었다. 수피의 철학은 신에 대한 ‘마으리파’(靈知; ma‘rifah)를 넘어서, 수행의 최종 단계인 ‘파나’(自己滅絶; fana’)을 통하여 ‘카라마트’(神人合一; karāmāt)에 도달한다는 논리이다. 특히 신일합일 실현의 방법론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수피사상은 헬레니즘과 영지주의 철학을 공유하는 신비주의의 신학체계를 형성하였다. 수피주의는 신비적 직관을 최고의 목표로 두었고, 금욕주의를 강조하면서, 무슬림의 행동양식의 선도하여 왔다. 수피의 철학적 가치인 무슬림의 독실성과 내면의 사색을 강조하는 조명철학으로 발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의 신비주의를 중심으로 수피주의의 사상적 기반과 신비주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수피주의 발생 요인과 더불어 수피학자들의 신학적 이론을 확인하였고, 수피수행의 단계와 수피 수행의 양태를 분석하였고, 수피의 신비주의 도입 과정과 샤리아의 해석내용 및 수피사상의 철학적 의미와 더불어 수피의 종교·역사적 역할측면에서 수피주의 교의와 수피교단의 사상적 결집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In the history of Islam, the Sunni Muslim jurisprudence (Ulama) was a strong leader in the Muslim community shortly after the Prophet Muhammad. The purification against material pursuit and selfish secularization took place from the earliest era. Sufism is believed to have occurred then, and the mysticism of Islam at that time did not enter the institutional sphere, while the movement sprang up in the public, mainly to ordinary Muslims. Sufi's philosophy goes beyond the preaching of Shri’a, final destination of practice is through self-destruction (fana'), which is to achieve total union with Allah’s bless,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Gnosticism (ma'rifah). The theological system of Sufi mysticism shared by philosophies of hellenism and gnosticism. that has evolved into a lighting philosophy, leading to mystical intuition, emphasizing asceticism as the basic value of Sufism, and finally leading the way in the Muslims practice. In conclusion, Sufism got historical significance and philosophical values and evaluated as a unique Sufi Islam thought through contemplation of Muslim standards and inner reflection. This paper accessed to 1) examine Sufism id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ysticism type, the factors and ideological value of Sufism. 2) Also dwell upon sufi practice principles through analysis of sufi performance steps and theological basis of Sufi philosophy, and 3) evaluate the principles of sufi mysticism practice through the early mystic development process within Shari’a expansion, and 4) Sufi’s historical role through expansion of Islamic history.

수피사상, 이슬람, 신비주의, 신인합일, 금욕주의
Sufi Thought, Islam, Mysticism, karamaāt, Asceticism

  • 1. [학술지] 김용선 / 1996 / 초기 이슬람 시대의 국가 통치권과 종교-움마, 칼리프, 샤리아를 중심으로 / 중동연구 / 15 (1)
  • 2. [학술지] 김중관 / 2011 / 이슬람 경제 / 철학과 현실 (여름)
  • 3. [학술지] 김중관 / 2017 / 이슬람 사상의 경제원리 및 규범체계 분석 / 철학∙사상∙문화 (24) : 240 ~ 24 kci
  • 4. [단행본] 유지산 / 2006 / 꾸란의 지혜 / 동서문화사
  • 5. [학술지] 유흔우 / 2008 / 성불(成佛)과 위성(爲聖) / 철학∙사상∙문화 (6) : 46 ~ 6 kci
  • 6. [단행본] 카렌 암스트롱 / 2007 / 이슬람 / 을유문화사
  • 7. [인터넷자료] 다음백과 / 할
  • 8. [인터넷자료] / 최고의 목적, 위대한 성전(聖戰)
  • 9. [단행본] Abdullah Jawadi Amuli / The Book of Sufi Healing
  • 10. [단행본] Alan Godlas / 2000 / Sufism's Many Paths / University of Georgia
  • 11. [단행본] Andrew Jacobs / 2013 / Asceticism and Exegesis in Early Christianity / The Reception of New Testament Texts in Ancient Ascetic Discourses
  • 12. [단행본] Carl W. Ernst / 2010 / The Cambridge Companion to Muhammad, Muḥammad as the Pole of Existenc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3. [단행본] Daniël Meijers / 1992 / Ascetic Hasidism in Jerusalem: The Guardian-Of-The-Faithful Community of Mea Shearim / BRILL
  • 14. [단행본] Fitzpatrick, Coeli / 2014 / Muhammad in History, Theory, and Culture / ABC-Clio
  • 15. [단행본] Karamustafa, Ahmet T. / 2007 / Sufism: The Formative Period / Co-publisher: Edinburgh University Press
  • 16. [학술지] 김중관 / 2018 / Contribution of Ibn Khaldun within Economic Thoughts -Focused on the Muqaddimah- / 철학∙사상∙문화 (28) : 186 ~ 28 kci
  • 17. [단행본] Mohammad Taqi al-Modarresi / 2016 / The Laws of Islam (PDF) / Enlight Press
  • 18. [단행본] Malise Ruthven / 2006 / Islam in the World / Oxford University Press
  • 19. [단행본] Muhammad Emin Er / 2008 / The Soul of Islam : Essential Doctrines and Beliefs / Shifâ Publishers
  • 20. [학술지] Robin Darling Young / 2001 / Evagrius the Iconographer : Monastic Pedagogy in the Gnostikos / Journal of Early Christian Studies / 9 (1)
  • 21. [단행본] Samuel Rubenson / 2006 /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 22. [단행본] Schimmel, Annemarie / 2013 / Mystical Dimension of Islam / Noura Books
  • 23. [인터넷자료] Schimmel, Annemarie / Sufism·Islam
  • 24. [학술지] Wolfson, Elliot R / 2016 / Asceticism, Mysticism, and Messianism : A Reappraisal of Schechter's Portrait of Sixteenth-Century Safed / Jewish Quarterly Review / 106 (2)
  • 25. [학술지] Беляев, И. А. / 2011 / Религиозный фанатизм как иллюзорная компенсация недостаточности духовно-душевных составляющих целостного мироотношения / Вестник Челябин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академии культуры и искусств / 28 (4) : 68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