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밤중에 우리는 빛나는 별들을 볼 수 있다. 검은 밤하늘을 배경으로 별들이 빛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존재를 통하여 비존재를, 유한한 것을 통하여 무한한 것을 우리는 추측해볼 수 있다.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실체의 세계를 통하여 보이지 않는 무한 세계를 추론하는 통찰력을 지녔다. 달리 말하면, 가시적 세계는 비가시적 세계의 이정표라는 것이다. 이런 관점을 통하여 우리는 매순간 변화하는 현상계가 무한 세계의 구체적 증거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맥락으로 부처는 『금강경』에서 그의 제자들에게 존재와 비존재의 관계를 가르쳤다. 가시적인 것은 공(空)을 알려주는 이정표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존재(色)는 끊임없는 공성(空性)의 작용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의미의 자유라는 것은 유한하고 변할 수밖에 없는 가시적 세계에 집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주된 흐름은 존재와 비존재 간의 관계를 서로 대조적 성격을 띠고 있는 상반성의 시각에서 접근해본 것이라 할 수 있다.

키워드

로버트 프로스트, 금강경, 상반성, 「서쪽으로 흐르는 개울」

참고문헌(16)open

  1. [학술지] 설태수 / 2011 / 윌리엄 블레이크 시에서의 ‘색즉시공’ / 동서비교문학저널 (24) : 75 ~ 90

  2. [학술지] 설태수 / 2013 / 윌리엄 블레이크와 중도(中道) / 동서비교문학저널 (29) : 129 ~ 143

  3. [단행본] 설태수 / 2005 / R. 프로스트의 세계관 / 형설출판사

  4. [학술지] 설태수 / 2013 / 선시(禪詩)의 적기어법(賊機語法)과 영시(英詩) / 철학∙사상∙문화 (16) : 125 ~ 139

  5. [단행본] 스리 니사르가닷따 마하라지 / 2001 / I AM THAT / 탐구사

  6. [단행본] 원순 / 2010 / 육조 스님 금강경 / 법공양

  7. [단행본] Blake, William / 1971 / The Complete Poems / Longman

  8. [단행본] Brower, Reuben A / 1964 / The Poetry of Robert Frost: Constellations of Intention / Oxford UP

  9. [단행본] Frost, Robert / 1949 / Complete Poems of Robert Frost / Holt, Rinehart and Winston

  10. [단행본] Frost, Robert / 1975 / Robert Frost: Lectures on the Centennial of His Birth / Library of Congress

  11. [단행본] Hall, Dorothy Judd / 1984 / Robert Frost: Contours of Belief / Ohio UP

  12. [단행본] Potter, James L / 1980 / Robert Frost: Handbook / The Pennsylvania State UP

  13. [단행본] / 1984 / Robert Frost's Poetry: Notes / Coles Publishing Co. Ltd

  14. [단행본] Stevens, Wallace / 1951 / The Necessary Angel: Essays on Reality and the Imagination / Alfred A. Knopf

  15. [단행본] Sweeny, John David / 1965 / The Poetry of Robert Frost / Monarch Press

  16. [단행본] Thompson, Lawrance / 1970 / The Years of Triumph, 1915~1938 / Rinehart and Win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