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중국에서 발행된 『대련신문』 소재 한국독립운동 관련기사 분석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The Dalian Newspaper” Published in China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바로가기
  • 간행물
    한중관계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6권 제2호 (2020.06)바로가기
  • 페이지
    pp.239-269
  • 저자
    김태국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77416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2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ical value of the “The Dalian newspaper” can be summarized in six ways as follows: First, basic facts and concepts can be used as feed to newly establish and establish accurate chronology. Second, it can be used as a useful resource for discovering and selecting new independence activists through various human history or information o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Third, through a review of the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nd its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we can expect to secure new research time and research results in re-establishing the foreign affairs histo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Fourth, important clues are also found to shed new light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in Northeast China. Through the review of articles on the riots on May 30, 1930 and the riots that erupted on the Gildon Line on August 1, 193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an be reexamined. Fifth, it can shed new light on the spatial significance of the city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ixth, it is the status of anniversarie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independence activists actively utilized the anniver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anniversary event, they were able to cultivate their indomitable will for independence, express their presence, and maximize the effec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한국어
중국 대련은 여순과 함께 러시아와 일본이 만주지역을 침략하는 중요한 거점 도시였다.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대련과 여순을 러시아로부터 넘겨받았다. 일 본은 대련에서 일본인 사회를 통합하고 정부의 식민 정책을 홍보하고 신문 여론전을 펼칠 목적으로 일본어 신문 3종을 발행했다. 『요동신보』(1905년), 『만주일일신문』(1907년) 그리고 『대련신문』(1920년)이 바로 그것이다. 『대련신문』은 전성기를 누리던 1935년 5월 현재 지사・지국・통신부・판매소는 70 남 짓에 달하고, 직원은 500명, 신문 쪽수는 14면, 발행 부수가 가장 많은 신문으로 성장했다. 『대련신문』에는 물론 일본과 일본인에 관한 기사가 압도적으로 많다. 여기에 못지 않게 중국, 소련 그리고 한국과 관련 기사도 비중 있게 다루었다. 한국 관련 기사만 무려 1,150여 개를 추출할 수 있다. 그 가운데서 필자는 한국 독립운동과 관련된 기사를 8개 부류로 나누어 검토했다. 상기 검토를 통하여 󰡔대련신문󰡕이 지니는 사료적인 가치에 대해 아래와 같은 여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본적인 사실관계와 개념을 새롭게 규명하고 정확한 연대기를 구축하는 사료로 이용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인물 약력이나 독립운동단체 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새롭게 독립운동가를 발굴하고 선정하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소련과의 관계 기사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외 관계사를 재정립하는데 새로운 연구시각 확보와 연구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넷째, 중국동북지역 한국공산주의운동사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도 발견된다. 1930년 5월 30일의 폭동과 8월 1일의 길돈선 연선에서 폭발한 폭동에 관한 기사 검토를 통하여 재만한인공산주의자와 중국공산당의 관계를 재조명할 수 있다. 다섯째, 다섯째, 한국독립운동사에 도시가 지니는 공간적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다. 대련을 비롯한 봉천・하얼빈・길림 등 대도시는 물론이고 국경 도시(신의주와 단동; 만포와 집안; 혜산과 장백; 회령과 삼합; 남양과 도문; 경원과 훈 춘)의 지정학적인 위치나 교통망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독립운동가들의 이동 경로, 독 립운동 자금 조달과 무기 구입 루트, 해외 독립운동기지와 국내의 연관성을 밝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여섯째, 한국독립운동사에서 기념일이 차지하는 위상이다. 독립운동세력들은 기념일을 적극 활용하여 효과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기념일 행사 를 통해 불굴의 독립 의지를 가다듬을 수 있고, 자신들의 존재감을 나타낼 수 있고, 독립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어
中国的大连和旅顺曾是沙俄和日本在中国东北地区争夺的焦点,俄日两国都设想将 其作为侵略中国的跳板。1905年,在俄日战争中取胜的日本从俄国手中接管了大连和旅 顺。日本政府出于加强管控在大连的日本侨民,宣传其殖民政策以及开展舆论战等目的 在大连分别发行了3份日文报纸,分别是《辽东新报》(1905年)、《满洲日日新闻》 (1907年) 以及《大连新闻》(1920年)。 其中《大连新闻》在鼎盛时期时,其分社、分局、通信部、售卖点合计共70余处, 职员人数达到500名。每期报纸设有14个版面,是当时大连地区发行量最大的报纸。毋 庸置疑,该报纸中关于日本和日本人的新闻数量是最多的。但是关于中国、苏联以及韩 国的新闻报道也占有相当的比重。《大连新闻》中关于韩国的新闻报道就多达1150余 条。笔者将其中所有关于韩国独立运动的报道整理成了8个大类以进行研究和分析。 本文通过对《大连新闻》的梳理和研究,将其作为史料的研究价值归纳为如下六个 方面:第一,其为重新整理各历史事件的关系、概念以及大事年表提供了新的依据。第 二,报纸中出现的丰富的人物履历以及独立运动团体相关的报道为挖掘、甄别和选定独 立运动家提供了极具价值的信息。第三,大韩民国临时政府(以下简称“临政”) 与苏联外 交关系的新闻报道为重新梳理临政的对外关系提供了新的研究视角与广阔的研究空间。 第四,为中国东北地区韩国共产主义史的研究提供了新的线索。例如,关于1930年5月 30日暴动和8月1日吉敦线沿线暴动的报道就为研究和探讨在满韩人共产主义者同中国共 产党的关系提供了宝贵的依据。第五,重新审视城市在韩国独立运动史上所具有的意义 提供了新的视角。大连、奉天、哈尔滨、吉林等大城市自不必说,在中朝边境地区的如 新义州和丹东、满浦和集安、惠山和长白、会宁和三合、南阳和图们以及庆源和珲春等 城市,通过地缘政治学角度对其地理位置与交通的研究极有助于探究独立运动家们的活 动及转移路线、独立运动资金的筹措、武器采买途径、海外独立运动基地与韩国国内的 关系等内容。第六,纪念日在韩国独立运动史上所占的地位。韩国独立运动力量都积极 地依托各种纪念日来开展更有效的独立运动。其原因在于,通过纪念日开展各种活动可 以振奋韩国民众不屈的独立意志与精神,同时充分展现出其自身的存在价值,将各项独 立运动的效果发挥到最大化。

목차

Ⅰ. 머리말
Ⅱ. 『대련신문』의 변천과 성향
Ⅲ. 한국독립운동 관련 기사의 성격별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中文摘要
Abstract

저자

  • 김태국 [ Jin Tai Guo | 중국 연변대학교 인문사회과학학원 교수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 설립연도
    2013
  • 분야
    사회과학>정치외교학
  • 소개
    원광대학교는 ‘중국문제특성화’ 대학을 지향하면서 2013년 3월 한중관계연구원(원장 정세현)을 설립하였다. 한중관계연구원은 중국의 부상에 따른 국내외 정세 변화에 대처하고, 바람직한 한중관계와 양국의 공동발전을 위한 실질적 방안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중관계연구원 산하에 한중법률, 한중역사문화, 한중정치외교, 한중통상산업 분야의 전문연구소를 두고 있다. 이로써 한중관계연구원은 각 분야의 전문 연구소를 통해 한중간 현안들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중국과의 교류를 선도하며 중국 지역전문가를 양성하는 명실상부한 중국문제 특성화 전문 연구기관이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중관계연구 [Korean Chinese Relations Review]
  • 간기
    연3회
  • pISSN
    2384-1214
  • eISSN
    2671-8928
  • 수록기간
    2015~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49 DDC 327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중관계연구 제6권 제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