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예비전력 정예화를 위한 육군의 예비전력 부대구조 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동원전력사령부는 육군의 예비전력을 창출하는 기능사령부로 역할을 확대하고 동원여단, 동원보충여단, 동원지원여단, 동원자원호송단 등을 예속부대로 재편한다. 둘째, 지역방위사단은 단계별 개편을 추진한다. 1단계는 2025년까지 현 지역방위사단 체제를 유지한 가운데 지역예비군부대를 예비군지역대로 통합하여 정형화 편성한다. 2단계는 2030년까지 현 지역방위사단 사령부와 여단을 유지한 가운데 대대급 이하 현역부대와 예비군부대를 통합하여 편성한다. 3단계는 2040년 목표로 지역방위사단을 지역방위여단으로 재편하며, 권역 단위 지역방위대대를 편성하여 기능별 단위부대를 모듈화 편성한다. 셋째, 상비부대 소속 부대 중 증편부대 필수 즉응대기 전력은 100% 현역으로 편성하고, 여단의 예비대대와 직할부대는 상비율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개편한다. 본 연구는 2030~2040년을 목표연도로 설정하였고 군 구조 분야 중 예비전력 부대구조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for some policy recommendation to reorganize the Republic of Korea Army’s reserve forces of the future.
First, the ROK Army’s reserve forces command as rear combat support units during the wartime shall compose of full-fledged reserve brigades, mobilized reserve brigades, reserve combat supporting brigades and reserve logistic and escorting brigades.
Second, standing force deploying each province as area defensive division will be reorganize due to phase-based reorganizing plans to meet the preparedness for the future war scenarios.
There are some policy suggestions for three phrases. First, current province-based ROK Army infantry division will absorb local reserve units by operating non-stand duty resever forces by 2025. Second, ROK’s standing army and its reserve forces of low-level of battalion units have to emerged one integrated ROK Army hybrid battalion between standing forces and reserve forces by 2030. Third, a core of ROK Army’s reserve units reform from division level to brigade-level with agile, robust and flexible capabilities by 2040 with moduling functional restructure, not traditional concept of structure of ROK Army three-echelon units.
Third, standing army force can be role of conducting rapid reaction force and 100% of manpower should be secured. Remaining reserve unites, such as division-subordinated units will be mixed with standing forces with appropriate radio of manpower.
This article sets up certain period of ROK Army’s reorganizing of its reserve force for duration between 2030 and 2040 and major study area limits only ROK Army’s reserves forces.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부대구조 변환 결정에 관한 이론적 배경
Ⅲ. 예비전력 부대구조 개편 영향요인 분석
Ⅳ. 예비전력 부대구조 개편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