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34.117
18.226.34.117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양육시설 업무환경이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Residential Child Care Workers: The Mediating Ro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김성중 ( Kim Seongjoong ) , 황정하 ( Hwang Jeongha ) , 문현 ( Mun Hyun ) , 김병규 ( Kim Byungkyu )
공공정책연구 38권 1호 147-178(32pages)
DOI 10.33471/ILA.38.1.7
UCI I410-ECN-0102-2022-300-000553025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 간의 영향경로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예방하거나 낮추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07개 아동양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총 421명의 종사자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여 최종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시설종사자가 지각하는 업무환경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서 간전적인 경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업무관련 태도변인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업무환경과 이직의도 간 영향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업무환경 수준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보다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이직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job environment among residential child care worker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In specific, the study set up an integrative model with the perceived level of job environment among residential child care workers as independent variable, their perceived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mediator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s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EM analysis revealed that out of the hypothesized causal paths, the characteristics job environments were not found to directl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ild c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That is to say, it found that the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via mediating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job satisfaction. In specific, child care workers’ positive perception of job environments wa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affected their lower level of turnover intention. Also, child care workers’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job satisfaction were all found to directly and indirectly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To improve child care workers’ organizational retention, a variety of measures such as building both a positive job environments and a system of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hich effectively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s from the broader organizations can be pursu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