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3.160
18.222.23.160
close menu
KCI 등재
정도성 형용사 반의어 공기 구문의 양화에 대하여
On the Quantification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Gradable Adjective Antonym that Co-occurs in a Sentence
이동혁 ( Lee Dong-hyeok )
어문논집 92권 169-194(26pages)
DOI 10.33335/KLL.92.6
UCI I410-ECN-0102-2022-700-000770080

이 글은 한 문장 안에서 공기하는 정도성 형용사 반의어 구문의 양화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도성 형용사는 개체를 나타내는 명사나 사건을 나타내는 동사와 달리 유계성이 없어서 정도성 형용사의 양화 의미를 해석할 수가 없다. 그러나 정도성 형용사가 반의어 쌍을 이루고 이 반의어 쌍이 한 문장에서 공기하며, ‘-건’, ‘-거나’, ‘-든’ 등의 연결어미가 각 반의어 뒤에 반복적으로 결합한 환경에서는 정도 반의관계에서 상보 반의관계로 변이한다. 이로써 정도성 형용사는 한계 형용사가 되어 유계성을 획득하게 되고, 정도성 형용사 반의어 공기 구문의 양화를 해석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된다. 정도성 형용사 반의어 공기 구문의 분포는 ‘X-CO1 Y-CO2 Z-다’와 ‘X-CO1 Y-CO2 하다’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양화의 삼부 구조에 대입하여 정도성 형용사 공기 구문의 양화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X-CO1 Y-CO2 Z-다’의 경우, 제약부는 X와 Y를 구성요소로 하는 상태의 전체 집합이고, 작용역은 ‘-CO1 -CO2’의 의미가 담당할 뿐만 아니라 ‘X-CO1 Y-CO2’와 ‘Z-다’ 간의 관계가 순서대로 담당한다. 그리고 ‘X-CO1 Y-CO2 하다’의 경우에는 제약부는 ‘X-CO1 Y-CO2 Z-다’와 같고, 작용역은 ‘-CO1 -CO2’의 의미만 담당한다. 그 결과, ‘X-CO1 Y-CO2 Z-다’의 정도성 형용사 반의어 공기 구문은 전칭 양화로 해석되고, ‘X-CO1 Y-CO2 하다’의 정도성 형용사 반의어 공기 구문은 반칭 양화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the quantification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gradable adjective antonym (CGAA) that co-occurs in one sentence. Unlike nouns that represent objects or unlike verbs that represent events, gradable adjectives have no boundedness, so the meaning of gradable adjectives cannot be interpreted positively.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antonyms changes from a gradable antonymy to a complementary antonymy in which gradable adjectives form an antonym pairs and these antonym pairs co-occurs in one sentence, and the connective ending such as ‘-geon’, ‘-geona’ and ‘-deun’ is repeatedly combined after each antonym. As a result, the gradable adjective becomes a marginal adjective and acquires boundedness, and is qualified to interpret the quantification of the CGAA. The distribution of the CGAA can be divided into ‘X-CO1 Y-CO2 Z-da’ and This can be substituted into the three-part structure of the quantification to interpret the quantification meaning of the CGAA. In the case of ‘X-CO1 Y-CO2 Z-da’, the restrictor is a complete set of states with X and Y as a component, and the nuclear scope is not only responsible for the meaning of ‘-CO1 -CO2’,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X-CO1 Y-CO2’ and ‘Z-da’ in order. In the case of ‘X-CO1 Y-CO2 hada’, the restrictor is the same as ‘X-CO1 Y-CO2 Z-da’, and the nuclear scope is only responsible for the meaning of ‘-CO1 -CO2’. As a result, the CGAA in ‘X-CO1 Y-CO2 Z-da’ is interpreted as the universal quantification, and the CGAA in ‘X-CO1 Y-CO2 hada’ is interpreted as the half quantification.

1. 서론
2. 정도성 형용사 반의어 공기 구문의 유계성
3. 정도성 형용사 반의어 공기 구문의 양화 해석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