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경춘(京春)의 네트워크를 통해 춘천이라는 도시의 기억과 이미지를 분석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일제시기 경춘가도와 경춘선의 건설은 상호간 네트워크가 시작되는 시작점이었으며, 이후부터 춘천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가진 위락처로서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두 도시의 복합적 의미의 창출은 댐 건설과 인공호수가 만들어지면서 부터이다. 호수경관이 창출되는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춘천은 비로소 서울과 깊이 연결된 관계 속에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호반의 도시’로 명명된 춘천은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쳐 로맨티시즘의 수사가 가득한 장소로 창출되는 역사를 거쳐오게 된다.
그리고 그 장소성의 형성은 신문과 잡지, 방송과 음악이 참여하는 미디어와의 공진화 과정을 통해서이다. 처음 신문과 잡지 등 인쇄 미디어에서 재현된 호반의 도시 이미지는 TV의 시대에 들어 영상미디어와 상호 연동해 갔다. 마치 양자가 진화해 가듯 호반의 도시가 발산해내는 낭만과 청춘의 은유는 한 세대가 흐른 뒤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도시의 건조 환경과 공간구조가 인간의 반응과 감각, 감정구조를 형성해 왔던 과정은 정동의 의미로서 춘천의 도시 이미지를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주고 있다. 또한 경춘선을 ‘청춘의 성지’로 은유하고 이곳을 방문하는 중장년 세대의 집합적 기억은 노스텔지어의 정동적 실천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경춘의 복합적인 장소적 의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역연구의 새로운 방법과 도시역사에 대한 대안적인 서술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memories and images of Chuncheon through the network of Gyeongchu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chun Roa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chun Line began to establish a mutual network, and from this time on, Chuncheon began to be discovered as an entertainment area with natural beauty. However, the creation of the hybrid meaning of Gyeongchun’s network is from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dam. By the late 1960s, when the lake landscape was created, it could be discussed in a relationship connected with Seoul beyond Chuncheon.
Chuncheon, which was named ‘the city of the lakeside’, went through the history of being created as a place full of romantic rhetoric through the 1970s and 1980s. And the formation of that place is through the process of co-evolution with the media in which newspapers and magazines, broadcasting and music participate. The city image of the lakeside, first reproduced in print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has been interconnected with video media in the age of TV.
In particular, the process in which the urban dry environment and spatial structure have shaped human reactions, senses, and emotional structures gives a clu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ity image of Chuncheon as the meaning of affect. In additio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middle-aged and older generations visiting the Gyeongchun Line as a metaphor for the ‘Holy Land of Youth’ shows the affective practice of nostalgia.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at it can be a new method of regional research and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urban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plex spatial meaning of Gyeongchu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경춘가도에서 경춘선으로 - ‘호반의 도시’ 이전의 경춘
3. 경춘과 로맨티시즘적 수사의 결합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