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1970년대의 신문연재소설에 나타난 결혼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압축적 근대화는 가족을 근대화의 ‘해결사’로서의 노릇을 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하거나 강요했다. 특히 전근대적 사회와 달리 도시화된 서울에서 ‘가족 만들기’는 일종의 생존전략이었다. 청년들은 사랑과 자유를 기반으로 하는 낭만적 연애를 추구했으나, 한편으로는 경제적 안정과 중산층으로의 계층이동을 욕망했다.
당대 청년작가인 조선작, 조해일, 최인호는 결혼을 통해 당대의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조선작의 『말괄량이도시』는 서울에 상경한 청춘남녀들이 중매혼을 통해 도시에 정착하고자 했음을 보여준다. 전과자 이거나 도시의 하층인물에 속한 이들은 자신보다 나은 처지의 상대와 결혼하여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들의 소망은 자본의 착취로 인해 유린된다. 이를 통해 상경민들에게 있어 자본주의가 잠식된 도시에서 ‘가족 만들기’가 여의치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조해일의 『겨울여자』는 여성 인물이 가족이기주의에 대한 거부로 비혼을 선언했다는데 주목했다. 남성 인물과의 관계를 통한 각성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가족제도를 전면적으로 부정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 특히 여성이 가족의 안위를 위해 대사회적인 것을 포기해야하는 불합리한 현실을 깨달은 이화는 결혼을 통해 한 남성-가족에게 종속되는 것을 거부한다.
최인호의 『도시의 사냥꾼』은 결혼 제도에 대한 기혼자가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표면적으로는 기혼남녀의 불륜 서사를 다루는 통속소설의 면모를 띠고 있지만, 여성인물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결혼제도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복무함을 깨달은 여성인물은 책임을 지는 개인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marriage in newspaper serial novels of the 1970s. Jo, Seon-jak, Cho, Hae-il and Choi, In-ho, young writers of the time, are drawing keen attention as they are raising questions about the family ideology of the time through marriage.
The novel by Jo, Seon-jak shows that people from the countryside to the cities want to settle down in cities through matchmaking and pursue a stable life, but it is impossible. That is, it is not easy to make a family in a city where capitalism is rampant.
The novel by Cho, Hae-il noted that female character are declaring non-marriage due to denial of the existing family system and rejection of family selfishness. If the preceding novels show young people frustrated by marriage or refusing to marry, Choi, In-ho rai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married system. On the surface, it deals with an affair narrative of married men and women, but female character question patriarchal ideology.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figure seeks to gain her status as a responsible individual.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무작정’ 상경 청년들의 결혼과 낭만적 사랑의 불가능성 : 조선작, 『말괄량이 도시』
3. 성적 자유의 추구와 결혼에 대한 거부 : 조해일, 『겨울여자』
4. ‘정상가족’에 대한 거부와 책임지는 개인 : 최인호, 『도시의 사냥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