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중앙행정 기관의 보도 자료에 나타난 오류를 조사·분석하여, 공공언어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중앙행정기관 공공언어 진단』의 보도 자료 정확성 분석 결과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공공언어 개선을 위해서는 이미 작성된 공문서를 평가하는 일보다는 공무원들이 글을 바르게 쓰도록 하는 일이 더 효율적이다. 공무원들이 문서를 작성할 때 맞춤법이나 문장 오류를 교정해주는 프로그램을 마련한다면 한국어 사용오류를 훨씬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오류 교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우선 오류 분석이 필요하다. 공공언어에서 많이 발견되는 문법적 오류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면 그 자료를 바탕으로 질 높은 텍스트 생산이 가능해지리라고 본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언어 진단 평가 항목’ 중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과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보도 자료에서는 문장성분의 생략이나 호응 오류, 접속 오류, 조사 사용 오류 등과 우리말답지 않은 번역 투 표현이 많았다. 공무원들이 보도 자료를 작성하면서 가장 많은 오류를 범하는 유형을 목록화한다면 교정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공공언어 개선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measures to improve public language by analyzing the grammatical errors of press releases from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o this en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ccuracy of press releases done by the "The 2017 Public Language Diagnosi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two categories used in the public language diagnosis: "grammatically incorrect expressions" and "non-Korean expressions." In the "grammatically incorrect expressions" category, the errors were classified as the following: "incorrect particle," "omission of sentence component," "error in the sequence of sentence constituents," "unnecessary sentence component," "incorrect conjunction," "duplicative expression," "modifier and modificand sequence error," "incorrect tense." In the "non-Korean expressions" category, the errors were classified as the following: ‘translation-like expressions," ’excessive nominalization," "unnecessary Sino-Korean words."
From the analysis of the errors in press releases, it is evident that the public language diagnosis is unable to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ing the level of public language. Thus it is concluded that an educational program elevating the command of Korean of public officials must also be implemented along with the public language diagnosi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보도 자료 오류 양상 분석
4. 보도 자료 문장의 오류 개선 방안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