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고려말 1387년 12월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명나라와 고려간에 철령을 경계로 할 것을 통고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그 철령은 강원도 북단의 철령이 아니라 요동의 철령이었다.
이는 고려가 ‘철령과 그 이북의 문주, 함주, 공험진 등이 고려땅’임을 주장한 표문을 명나라에 제출한데 대해, 명 태조가 ‘요동의 봉집현에 이미 철령위가 설치(1388년 3월)되었고, 고려는 옛날부터 압록강을 경계로 해왔으므로, (요동의) 철령과 그 이북땅은 명나라땅’임을 주장하여 거부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즉, 고려가 그 철령이 ‘강원도 철령’인지 ‘요동의 철령’인지 명시하지 않고, 고려땅임을 주장한데 대해, 명나라는 철두철미하게 요동에 있는 철령에 관한 것으로 간주하고 고려의 요구를 거부한 것이다.
이는 애당초부터 주원장이 강원도 북단 철령이 아닌 요동의 철령을 경계로 하여, 그곳에 철령위를 설치하고자 했고, 당연히 강원도 철령 이북의 쌍성총관부 지역을 직접 통치할 생각도 없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위의 철령위에 관한 사실들을 고려에 통고하도록 명령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는 ‘요동에 이미 철령위가 설치되었다(1388년 3월)는 사실’이 누락되었을 뿐만 아니라, “명나라에서 철령위 설치 논의가 중지되었다”고 왜곡되게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누락 왜곡이 오늘날 교과서에까지 왜곡되게 기록된 원인의 시작이다. 그 후 대일항쟁기에 일제 학자들에 의해 "고려말 문제가 된 철령은 강원도 철령"을 말하는 것으로 고착되고, 해방 이후 식민사학자들에 의해 그대로 답습되어 오늘에까지 이르고 있다. 또한, 위의 역사적 사실을 연계시키면, 고려말 1388년 당시 명나라와 고려간 국경은 요동땅 철령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It was known that the Ming Dynasty attempted to rule directly Cheollyeong of the Gangwon Province and further north, SSangsung-Chongganbu area at the end of the Koryo era. By the way, in December of 1387, the Joo, Wonjang, founder of the Ming Dynasty, had informed that the Ming and Koryo Dynasty should be bounded by the Cheollyeong. The Cheollyeong was not in the northern end of Gangwon Province but in Liaodong area.
This can be known from the Ming"s answer to Koryo"s claim that the land in the northern part of Cheollyeong is Koryo’s Land. The Ming regarded thoroughly that the Cheollyeong, which Koryo says, was not in Gangwon Province but in Liaodong area. And, notified that from the old days, the Abrok River was the border of Koryo, and the Cheollyeongwi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in Liaodong area.
This means that the Joo, Wonjang, founder of the Ming Dynasty had originally intended to set up the Cheollyeongwi not on the north side of Gangwon Province but on the Liaodong area. It also means that Ming had no intention to govern SSangsung-Chongganbu area at that time, further north of Cheollyeong of nowadays Gangwon Province.
By the way although Joo, Wonjang ordered to inform the facts on the above-mentioned to Koryo, in Koryo History, not only the facts that "the Cheollyeongwi was already established in Liaodong" are omitted, but also the fact are recorded in a distorted way saying that "Ming has ceased discussion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heollyeongwi.
The link between these historical fac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in 1388, the border between Ming and Koryo Dynasty was the Cheollyeongwi of Liaodong area.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명실록』에 근거한 철령위 문제의 발단과 결과
3. 철령과 철령위의 위치
4. 철령의 위치 등 논란의 원인과 영향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