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문화지형과 출판문화콘텐츠
Cultural Topography and Publishing Cultural Content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바로가기
  • 통권
    제6권 3호 (2022.03)바로가기
  • 페이지
    pp.494-503
  • 저자
    박성호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9420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Perceptual changes in cultural terrain and their consequences still have a great influence today.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residual of cultural colonialism. Imperialism has almost disappeared, but colonialism still remains in terms of culture. This is because cultural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rose in the process of spreading culture. Cultural colonialism is basically caused by conflicts between cultural identity. This suggests that when checking the topography of cul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clue to solve the problem of cultural colonialism can be found.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grasp the cultural topography through publishing and cultural contents. This is because cultural colonialism can be diagnosed by grasping the topography of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shing contents that imply culture. Furthermore, I would like to discuss from today's perspective how publishing content can play a role in breaking away from cultural colonialism.
한국어
문화지형의 지각변동과 그 결과물은 오늘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문화식민주의의 잔존을 들 수 있다. 제국주의가 거의 사라졌지만, 문화적 측면에서는 여전히 식민주의가 남아 있다. 이는 문화가 전파되는 과정에서 문화적 우열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문화식민주의는 기본적으로 문화정체성간의 충돌로 인해 발 생한다. 이는 문화의 지형을 확인할 때, 문화식민주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본 논문은 출판문화콘텐츠를 통해 문화 지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문화를 함의하 고 있는 출판콘텐츠 분석을 통해 문화의 지형을 파악하면 문화식민주의를 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출판 콘텐츠가 문화식민주의를 탈피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오늘날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문화 지형과 출판
2.1 개화기: 국민 계몽으로서의 출판
2.2 일제강점기: 민족정신 고취로서의 출판
2.3 해방기 이후: 문화 부흥과 교육으로서의 출판
Ⅲ. 출판콘텐츠의 활용과 의미
3.1 출판의 발전과 콘텐츠화
3.2 출판콘텐츠의 확장과 적용
3.3 출판콘텐츠의 문화교류
Ⅳ. 결론
REFERENCES

저자

  • 박성호 [ Park, Seong-Ho |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HK+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교수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International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 설립연도
    2017
  • 분야
    복합학>기술정책
  • 소개
    Ever sinc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es in the nation, computing professionals have encountered a growing number of challenges. Along with scholars and colleagues in related fields, they have gathered in avariety of forums and meetings over the last few decades to share their knowledge, experiences and the outcome of their research. These exchanges have led to the founding of the International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INCA) on December 1, 2015. INCA was registered as an incorporated association under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he main purpose of the organization is to improve our society by achieving the highest capability possible in next 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간행물

  • 간행물명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 간기
    월간
  • pISSN
    2508-8270
  • 수록기간
    2017~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506 DDC 606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제6권 3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