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AI교육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AI소양을 배우고, 초등 현장에 AI교육을 실제 수행해보는 STAMP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준비-연수-실습의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수업 저널에 대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STAMP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는 ‘교사 전문성 강화’와 ‘다양한 경험을 통한 자기 계발’이었다. 둘째, STAMP 활동 중 어려운 점으로는 교구 사용, 수업 준비, 수업 중 학생 참여 독려 및 통제 기술 등이 기술되었다. 하지만, STAMP 참여를 통해 SW/AI 역량을 기르고, 발전하는 수업 능력을 경험하여 높은 성취감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초등 예비교사, 인공지능, STAMP, SW교육, AI교육

참고문헌(16)open

  1. [보고서] UNESCO / 2022 /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 [인터넷자료] Dutton, T / Building an ai world: Report on national and regional ai strategies

  3. [기타] Ministry of Science & ICT / 2019 /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4. [단행본] Charles Fadel / 2019 /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Promises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 The 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5. [학술지] 류미영 / 2018 /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 (3) : 317 ~ 324

  6. [학술지] Karsenti Thierry / 2019 /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The Urgent Need to Prepare Teachers for Tomorrow’s Schools / Formation et profession 27 (1) : 112 ~ 116

  7. [학술지] 전수진 / 2021 / 초중등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양 교과목 설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 (5) : 859 ~ 869

  8. [학술지] 김성애 / 2022 / 예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내용 체계 개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7 (1) : 22 ~ 44

  9. [학술지] 전수진 / 2022 / 예비 교사를 위한 모듈형 인공지능 소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 (2) : 35 ~ 45

  10. [학술지] 이소율 / 2022 / 머신러닝 교육 플랫폼 활용 융합 교육이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3 (4) : 665 ~ 674

  11. [학술지] 전형기 / 2022 / 예비교사를 위한 드론 활용 앵커드 AI·SW 융합 프로그램이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 /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 (1) : 83 ~ 92

  12. [학술지] 서성채 / 2021 / 예비교원의 인공지능교육 기반 컴퓨팅 사고력 이해도 분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 (1) : 123 ~ 134

  13. [학술지] 박정호 / 2020 / 예비교사 대상 인공지능 활용 메이커 교육 사례 연구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 (4) : 701 ~ 709

  14. [학술지] 최정원 / 2022 / 예비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한 AI-TPACK 모델 설계 /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 (2) : 79 ~ 89

  15. [학술지] 한규정 / 2021 / 초등학교에서의 엔트리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 사례 / 창의정보문화연구 7 (4) : 197 ~ 206

  16. [학술지] 이재호 / 2021 / 피지컬 교구를 이용한 인공지능 교육용 데이터 수집 연구 / 창의정보문화연구 7 (4) : 265 ~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