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71.5
3.145.171.5
close menu
KCI 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연법사상
St. Augustine’s Natural Law Theory
하재홍 ( Jaihong Ha )
법학논집 27권 2호 349-383(35pages)
DOI 10.32632/ELJ.2022.27.2.349
UCI I410-ECN-0102-2023-300-000762460

아우구스티누스는 키케로의 자연법에 신학적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자연법 이론을 혁신했다. 그는 신학상 교리를 확립할 필요에서 자연법 이론을 재구성했는데, 이 과정에서 키케로의 자연법을 하나님의 영원법과 그것이 인간의 내면에 새겨진 자연의 법으로 구분했고, 또 영원법에서 이성적 요소 외에 의지적 요소가 독자적인 중요성을 가짐을 밝혔다. 이렇게 자연법에 신학적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가톨릭교회의 교리 형성에 크게 이바지했지만, 재해석과 혁신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그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문제를 새로 만들어내는 것이기도 했다. 그의 『신국론』 해석을 둘러싸고 중세 이후로 현재까지 신학과 정치학, 그리고 양자가 중첩되는 정치신학의 영역에서 뜨겁게 논쟁이 진행되고 있는 사실은 새삼 말할 필요가 없다. 자연법과 관련된 부분을 요약하면, 이전의 스토아 자연법 전통에서 인간과 신의 정의가 이성적 연합을 이루며 세속법에서 그 실현을 이루는 것이었다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초기에 이를 계승했다가 펠라기우스 논쟁을 거치면서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의 관계를 강조하면서 확고부동해야 할 정의와 법의 연결고리를 끊고 오직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이라는 비밀로 대체했다.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에는 모순이 없다. 하지만 이제 세속국가나 세속법은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을 완전하게 재연하는 수단이 되지 못하며, 세상의 사라질 것을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의 공통된 이해관계의 산물일 뿐이다. 그의 자연법론은 한편으로 세속법에서 이성과 의지의 요소 사이의 분리를 의도하지 않았어도 그 가능성을 예고한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 신앙인이 세속의 영역에서 정의에 관해 이방인과 대화할 수 있는 통로였다.

St. Augustine revolutionized the theory of natural law by combining theology with Cicero’s natural law theory. The way he solved the problem with reinterpretation and innovation created another one that he did not intend. Since the Middle Ages, there has been a heated debate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City of God in the areas of theology,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al theology, where the two overlap. In the tradition of stoic natural law, natural law was a union between men and God by reason, and secular law was its realization. St. Augustine initially inherited this idea but broke the link undergoing the Pelagius debate,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d’s grace and salvation. There is no contradiction in God’s justice and love. But in Augustine’s later natural law theory, the secular state or law is not a means of complete reenactment of God’s justice and love, but a product of common interests among those who love the world to disappear. His theory of natural law foretold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between reason and will, and on the other hand, it was a channel for believers to talk to strangers about justice in the realm of secularity.

Ⅰ. 문제 제기
Ⅱ. 아우구스티누스의 법사상
Ⅲ. 『신국론』의 해석과 자연법에 대한 전망
Ⅳ.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