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74.183
3.145.174.183
close menu
KCI 등재
전통 법문화에서 法의 恒常性과 變化性
Constancy and Changeability of Law in East Asian Traditional Legal Culture
김지수 ( Ji-su Kim )
법학논집 27권 2호 299-347(49pages)
DOI 10.32632/ELJ.2022.27.2.299
UCI I410-ECN-0102-2023-300-000762455

본고는 근대 서양 법철학에서 법의 주요 이념인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에 관한 주제와 관련하여, 동아시아 전통법문화에서 법의 항상성과 변화성을 전반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道가 법을 낳는다’는 전통 철학사상에 근거하여, 우선 법의 근본으로서 ‘道’의 항상성과 변화성을 대강 통관하면서, 老子ㆍ공자ㆍ맹자 및 周易에 나오는 항상과 변화에 관한 철학사상을 소개한다. 이어 본고의 주제인 법의 항상성과 변화성을 집중 탐구한다. 동아시아 전통문화에서 法은 본질개념 자체가 ‘常’으로 표현되고, 아예 ‘常刑’이란 용어도 자주 쓰이는데, 법은 일정불변의 원칙을 중시하는 항상성 자체가 핵심본질임을 검토한다. 물론, 예외 없는 원칙이 없듯이, 法에도 항상성에 대응하는 變化性이 중요한 대우범주로 수반하며, 이는 時間적ㆍ空間적ㆍ事物적 변화성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또 전통법문화에서 법적 항상성과 변화성의 중요한 철학사상을 남긴 道ㆍ儒ㆍ法 3家의 대표자로서 老子ㆍ孔子ㆍ韓非子의 사상을 원전 중심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秦漢 이후 전통왕조에서 펼쳐진 法制史上의 恒常과 變化를 대강 살펴본다. 특히 중원 통일을 향해 겸병전쟁이 치열했던 戰國시대의 改革과 變法論을 대략 소개하고, 역대 왕조에서 易姓革命과 統治改革의 합리적 정당화로서 變法改制論을 탐구하며, 끝으로 한 왕조에 기본 통치규범으로서 恒常적인 律과 變化하는 勅令格式 및 條例 관계를 언급한다. 전통법문화의 역사철학에서 법의 항상성과 변화성은 근대 서양법철학에서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이란 주제와 완전히 일치할 수는 없지만, 동서양에 법의 역사와 철학을 대조ㆍ비교함에 상당히 접근하는 대응 범주로서 참고할 수 있다. 필자의 연구능력 한계와 시간상ㆍ지면상 제약으로 본고가 만족할 만한 비교법적 연구를 시도하진 못했지만, 앞으로 이 주제에 관심 있는 후학들이 확대심화 연구하길 기대한다. 장래 이 분야 학문발전에 조그만 디딤돌과 발판이 될 수 있다면, 본고는 소기의 연구목적과 학문적 가치 및 성과를 거둔다고 믿는다. 강호 제현의 질정과 지도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stancy and changeability of law in East Asian traditional legal culture in relation to the subject of legal stability and concrete validity, which are the main ideologies of law in modern Western legal philosophy. Based on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idea that ‘the Tao begets the law’, first of all, the constancy and changeability of the ‘Tao’ as the root of the law is broadly cleared, and the philosophical ideas about constancy and change in Lao-Tzu, Confucius, Mencius, and Zhou-Yi(Book of Changes: 周易) are introduced. Next, the subject of this paper, the constancy and changeability of law, is explored intensively. In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the concept of law itself is expressed as ‘constancy(常)’, and the term ‘constant punishment(常刑)’ is also used frequently. This paper examines that constancy(常) itself, which emphasizes the principle of immutability, is the core essence of law. Of course, just as there are no principles without exceptions, the law also accompanies changeability corresponding to constancy as an important major category, which will be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emporal, spatial, and material variability. In addition, as representatives of the three families of Taoism, Confucianism, and Legalism(Fa-jia), who left important philosophical ideas of legal constancy and changeability in traditional legal culture, the ideas of Lao-tzu, Confucius, and Han Fei-zi are reviewed, focusing on the original text. Next, we will briefly review the constancies and changes in the ideology of law that have been unfolding in the traditional dynasty since Han(漢) Dynasty. In particular, it outlines the reforms and the theory of rhetoric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the war of war was fierce for the unification of the Central Plains(中原), and explores the theory of political reform as a rational justification for counter-revolution and government reform in successive dynasties. It refers to relationships between constant rules(Lǜ 律) and changing edict formalities and crafted cases(條例). The constancies and changeability of law in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traditional legal culture cannot completely coincide with the theme of legal stability and concrete validity in modern Western legal philosophy, but we can refer to these as a corresponding category that approaches the contrast and comparison of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law in the East and the West. Due to the limitations of my research ability and time and space limitations, I could not attempt a satisfactory comparative study in this paper, but I look forward to expanding and in-depth research by futur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this topic. If it can serve as a small stepping stone for the future academic development in this field, I believe that this paper will achieve the desired research purpose, academic value, and results. I look forward to the guidance and instruct from wise readers.

Ⅰ. 머리글 - 諸行無常, 法輪常轉
Ⅱ. 道의 恒常性과 變化性
Ⅲ. 法의 본질 및 개념으로서 常
Ⅳ. 常刑의 의미와 특성
Ⅴ. 法의 變化性
Ⅵ. 道ㆍ儒ㆍ法 철학사상에서 법적 항상성과 변화성
Ⅶ. 法制史上 恒常과 變化
Ⅷ. 맺음말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