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전전 일본 공산주의의 흐름을 개괄하면서, 일본공산당과 재일조선인조직의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을 연대와 분화의 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전후 해방공간의 일본과 재일조선인 문화운동 연구의 단서를 찾고, 전전과 전후를 관통하는 맥락 속에서 의미 규정할 수 있는 초석을 다지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소재한다. 1920년을 전후하여 일본에서 공산주의가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배경은, 이 운동이 비로소 구체적인 형태로 사람들에게 실천 방향을 제시했기 때문이었다. 1920년대에 일본 문화를 지배한 것은 거대 출판자본과 대중미디어가 만든 이미지와 그것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망이었다. 사람들은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화려한 이미지에 열광하면서도, 그 안에 내포된 부조리에 신음하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에 빠져있었다. 1920년대 초 일본에서 발아한 공산주의는 이러한 현실을 개선시킬 대안으로 재빠르게 자리잡는다. 조직의 활동가들은 많은 논쟁을 거치면서 자연 발생적 저항 이념에서 벗어난 보다 조직적이고 적극적인 운동을 모색하는데, 그 실천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이었다. 1930년을 전후하여 일본이 전시체제를 강화하면서, 일본공산당을 향한 탄압이 가속화한다. 계급 해방에서 천황제 타도로 전선을 확대하며, 적극적인 운동을 전개했던 공산당의 도전은 결국 시대적 한계와 내부의 역량 부족을 타개하지 못한 채 막을 내리는데, 그 역사적 현장에 늘 함께 한 존재가 재일조선인이었다. 한편 1930년을 전후하여 재일조선인의 급속한 유입과 함께 재일조선인사회에 독자적인 담론 시장이 형성된다. 공산주의 계열 재일조선인조직은 민족해방과 계급해방의 우선순위를 둘러싼 일본공산당과 조선공산당의 온도 차이를 조율하면서, 때로는 양쪽의 입장을 조율하는 완충지대로서, 때로는 재일조선인사회의 독자적인 목소리를 반영하는 창구로서 기능한다. 재일조선인의 이러한 입장이 가장 선명하게 반영된 분야가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이었는데, 일본과 조선 양쪽에 속하면서도 어느 쪽과도 다른 재일조선인의 원초성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향후 이에 대한 보다 정치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키워드

재일조선인,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 후쿠모토이즘, 예술대중화논쟁, 일본프롤레타리아문화연맹(코프)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구리하라 유키오 / 2018 / 프롤레타리아문학과 그 시대 / 소명

  2. [학술지] 기다 에미코 / 2001 / 韓・日 프롤레타리아 美術運動의 交流에 관하여=日韓プロレタリア美術運動の交流について / 美術史論壇 12

  3. [학술지] 김사량 / 2015 / 일본 프롤레타리아 연극 전성기의 담당자 -사노 세키와 무라야마 도모요시의 협동 작업을 중심으로- / 일본문화연구 (55) : 5 ~ 40

  4. [학술지] 김영진 / 2016 / 정우회선언의 방법과 내용 / 사림 (58) : 77 ~ 105

  5. [학술지] 박경수 / 2008 / 일제하 재일 문학인 김두용의 반제국주의 문학운동 연구 — 제3전선사에서 코프(KOPF)의 해체까지 — / 우리문학연구 (25) : 283 ~ 325

  6. [학술지] 서동주 / 2009 / 예술대중화논쟁과 내셔널리즘 - 나카노 시게하루의 예술대중화론 비판의 위상 - / 日本思想 (17) : 105 ~ 124

  7. [학술지] 이지선 / 2012 / 일본 프롤레타리아음악운동과 우타고에운동 1 - 방침ㆍ인물ㆍ활동양상을 중심으로 /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20) : 29 ~ 60

  8. [학술대회] 이수경 / 2015 / 버트랜드 러셀과 클라르테운동 및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 2015 런던&파리 제16회 세계 한민족포럼 논문집

  9. [학술지] 이승진 / 2018 / 재일조선인조직의 태동과 전개- 1920~1950년대를 중심으로 - / 日本學(일본학) 46 : 43 ~ 66

  10. [학위논문] 원웅재 / 2005 / 팔봉 김기진 비평 연구 :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11. [학술지] 조관자 / 2010 / ‘사회과학·혁명논쟁’의 네트워크 -일본자본주의논쟁 (1927-1937)을 중심으로 /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17) : 41 ~ 61

  12. [학술지] 전상숙 / 2010 / 제국과 식민지의 ‘정치투쟁’과 ‘경제투쟁’의 함의와 문제: 후쿠모토이즘과 정우회선언의 한·일 사회주의 ‘방향전환’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9 (1) : 57 ~ 78

  13. [학술지] 정혜경 / 2003 / 1930년대 재일조선인 연극운동과 학생예술좌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35 : 5 ~ 51

  14. [학술지] 정혜선 / 2016 / 1920년대 일본사회주의 운동과 평화공간-일본공산당과 사노 마나부의 활동을 중심으로- / 인문사회 21 7 (5) : 925 ~ 941

  15. [학술지] 정혜선 / 1997 / 일본공산당의 형성과 그 성격 / 일본역사연구 5

  16. [학술지] 최세훈 / 2017 / 일본 프롤레타리아 영화 운동의 기원: 사사 겐주의 소형영화론과 이동영화론 고찰 / 세계문학비교연구 (59) : 71 ~ 96

  17. [단행본] 朴慶植 / 1979 / 8.15解放前 在日朝鮮人運動史 / 三一書房 : 9

  18. [단행본] 朴慶植 / 1983 / 朝鮮問題資叢書・5 / アジア問題研究所 : 3

  19. [학술지] 外村大 / 1988 / 在日本朝鮮労働総同盟に関する一考察 / 在日朝鮮人史研究 8

  20. [단행본] 宋安種 / 2009 / 在日音楽100年 / 青土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