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Signification of Flipped classroom by sociology of classroom: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교육사회학연구
약어 : -
2014 vol.24, no.2, pp.181 - 207
DOI : 10.32465/ksocio.2014.24.2.007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사회학회
276 회 열람

이 연구는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실험에 참여한 교사들의 수업구조와 실행경험을 분석하여 교실사회학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은 동영상을 통해 교과지식을 집에서 학습하고 과제로 부여했던 활동을 교실에서 수행함으로써 고전적인 수업의 형식을 뒤집은 수업방식으로서 수업구조와 교사의 역할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 논문은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도입으로 인한 수업구조, 교실 공간 배치, 학생과의 상호작용, 교사역할의 변화를 교사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의미화하는지를 분석하여 교실사회학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업구조와 방식의 변화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추동해 내는지를 논의하고, 교실 수업 공간의 구조와 변화를 통한 교육혁신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gnification of Flipped classroom by the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observation of classroom and narratives of teachers. Flipped classroom cause the change of role of teacher in classroom.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signification for teachers by the flipped classroom. That is to sa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on the flipped classroom, this study analysed the implication on the sociology of classroom.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reform by the change of classroom reflecting the Korean educational culture.

거꾸로 교실, 교실사회학, 교사역할, 수업구조, 수업개선, 교육혁신
Flipped classroom, role of teacher, self-efficiency of teacher, structure of classroom, educational reform

  • 1. [학술지] 김경식 / 2006 / 교사기대 형성과 변화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등교육연구 / 54 (2) : 95 ~ 2 kci
  • 2. [학술지] 김정원 / 1999 / 수업내 교사의 아동분류와 그 의미 / 교육사회학연구 / 9 (2) : 65 ~ 2
  • 3. [학술지] 박윤배 / 2002 / 학교교육 주체들이 지각하는 교실붕괴 현상의 원인 / 교육사회학연구 / 12 (3) : 101 ~ 3 kci
  • 4. [학술지] 박재근 / 2011 / 초등 예비 교사들의 탐구 수업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컨설팅의 적용 / 초등과학교육 / 30 (2) : 152 ~ 2 kci
  • 5. [학술지] 성열관 / 2014 / ‘수업시간에 자는 중학생’ 연구: 수업참여 기피 현상에 대한 근거이론 / 교육사회학연구 / 24 (1) : 147 ~ 1 kci
  • 6. [단행본] 엄기호 / 2013 /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 / 교육공동체 벗
  • 7. [학술지] 이민경 / 2014 /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효과와 의미에 대한 사례 연구 / 한국교육 / 41 (1) : 87 ~ 1 kci
  • 8. [단행본] 이혁규 / 2013 / 수업,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 교육공동체 벗
  • 9. [단행본] 정병호 / 2008 / 교육개혁은 왜 매번 실패하는가? / 창작과 비평
  • 10. [학술지] 정연순 / 2008 / 교사들이 지각한 잠재적 학업중단의 유형과 특성 / 한국교육 / 35 (1) : 79 ~ 1 kci
  • 11. [단행본] 조한혜정 / 1997 /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 또하나의 문화
  • 12. [단행본] 조한혜정 / 2001 /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 또하나의 문화
  • 13. [학술대회] 황여정 / 2010 / 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육개발원 제4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 655 ~
  • 14. [단행본] Christensen, C. / 2008 / Disrupting class: How disruptive innovation will change the way the world learns / McGraw-Hill
  • 15. [단행본] Dewey, J. / 1987 / The Later Works of John Dewey, 1925-1953. Volume 10: 1934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16. [단행본] Keddie, N. / 1971 / Knowledge and Control / Collier Macmillan LTd : 133 ~
  • 17. [단행본] Oakes, J. / 2005 / Keeping track : How schools structure inequality / Yale University Press
  • 18. [보고서] OECD / 2009 / Highlights from Education at a Glance 2009
  • 19. [보고서] OECD / 2013 / PISA 2012 Results in Focus : What 15-year-olds Know and What they can do with what they know
  • 20. [단행본] Paille, P. / 2003 / L’Analyse Qualitative en Sciences Humaines et Sociales / Armand Colin
  • 21. [단행본] Strayer, J. F. / 2007 / The effects of the classroom flip on the learning environment: a comparison of learning activity in a traditional classroom and a flip classroom that used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 The Ohio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