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교복투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2개 지역의 교육복지 실무자들과의 면담 자료에 기초하여 그간 이루어진 교복투 사업 관계자간의 갈등의 현상과 그 본질에 대해 분석하였다. 교복투 사업 관계자간의 갈등은 교복투 사업의 우선순위와 교복투 사업 전담 인력의 역할 및 위상을 둘러싸고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복투 사업의 우선순위는 크게 학습 영역에 대한 지원과 심리정서 안정을 위한 지원이어야 한다는 관점으로 대별되었다. 교복투 사업 관계자간의 갈등은 전담 인력의 역할과 위상을 통해서도 표출되었는데, 교복투 사업의 전담인력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은 사례관리자 vs. 프로그램 총괄관리자라는 관점으로 나뉘었다. 이러한 갈등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 교육복지 담당 교사간 역할 분담의 충돌에서 기인하는 것이었다. 또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위상은 계약직 신분에 권한은 없으면서 책임은 많은 존재 vs. 역량 강화를 통해 권한을 확대시켜 나가는 존재라는 두 가지 관점이 존재했다. 특히 전담 인력의 역할과 위상을 둘러싼 갈등은 교복투 사업의 안정성과 전문성에 큰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향후 교육복지 사업이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전담 인력에 대한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보다 근본적으로 학교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재검토와 숙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키워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교육복지, 학교의 역할

참고문헌(40)open

  1.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신규지역 학교장 연수 자료집 / 교육과학기술부

  2.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10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이렇게 합니다 /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

  3. [학술지] 김경근 / 2010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징 분석: J 초등학교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학연구 48 (1) : 53 ~ 81

  4. [학술지] 김경애 / 2007 / 교육지원체제로서 지역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노원지역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연구 13 (3) : 117 ~ 142

  5. [학술지] 김경애 / 2009 / 교육복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커 역할의 의미 탐색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학교에서의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연구 15 (4) : 185 ~ 215

  6. [학술지] 김경애 / 2009 / 아동․청소년의 교육복지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성화 요소 및 원리* / 한국청소년연구 20 (3) : 85 ~ 114

  7. [학술지] 김인희 / 2006 / 교육복지의 개념에 관한 고찰 -교육소외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의 이론적 기초정립에 관하여 / 교육행정학연구 24 (3) : 283 ~ 308

  8. [학술지] 김정원 / 2007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효과분석 / 한국교육 34 (4) : 131 ~ 154

  9. [단행본] 김정원 / 2007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운영모델 개발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10. [학술지] 김정원 / 2007 / 교육복지와 학교의 역할: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17 (4) : 35 ~ 61

  11. [단행본] 김정원 / 2008 / 교육복지사업 발전 방안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12. [단행본] 김정원 / 2008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13. [단행본] 김정원 / 2009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연수 프로그램-교사용 / 한국교육개발원

  14. [단행본] 김정원 / 2009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종단적 효과 분석 연구(1차년도) / 한국교육개발원

  15. [단행본] 김정원 / 2009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연수 프로그램-지역사회교육전문가용 / 한국교육개발원

  16. [단행본] 김정원 / 2009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연수 프로그램-프로젝트조정자용 / 한국교육개발원

  17. [단행본] 김정원 / 2010 / 교육복지의 이론과 실제 / 학이시습

  18. [학술지] 남상섭 / 2009 / 한국 가계자산의 분배와 불평등 요인분해 / 경제연구 27 (2) : 59 ~ 96

  19. [기타] 류방란 / 2010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발전 방향 / 2011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발전 방안 자료집 : 23 ~ 85

  20. [인터넷자료]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 2010학년도 신입생 특성조사 주요 결과 보도자료

  21. [인터넷자료]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 2003학년도 신입생 특성조사

  22. [학술지] 성열관 / 2008 / A Research on Students' School-life Satisfaction and Effects of Intensive Support in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roject / 한국교육 35 (3) : 23 ~ 46

  23. [학위논문] 신지영 / 2010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서 교육청과 지역사회간의 네트워크 활동 방안

  24. [학술지] 정영림 / 2007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 실태 및 영향요인 관련 연구: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 학교사회복지 13 : 99 ~ 128

  25. [단행본] 김인희 / 2009 / 교육복지정책론 / 다산출판사

  26. [학술지] 양정호 / 2005 /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종단적 연구―한국노동패널조사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 교육사회학연구 15 (2) : 121 ~ 145

  27. [학술지] 윤철수 / 2006 /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 청소년학연구 13 (6) : 221 ~ 246

  28. [학술지] 이기범 / 1996 / 복지사회와 교육: 자유, 평등, 공동체를 위한 교육복지 / 교육학연구 34 (2) : 21 ~ 39

  29. [인터넷자료] 이데일리 / 2010국감]빈부격차 갈수록 악화

  30. [학술지] 이봉주 / 2008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효과분석 : 참여 학교와 비참여 학교 아동의 발달에 대한 종단적 비교 / 한국청소년연구 19 (3) : 169 ~ 195

  31. [학술지] 이지혜 / 2010 / 지역교육네트워크의 진화과정 분석 : 노원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연구 16 (3) : 31 ~ 63

  32. [학술대회] 이혜영 / 2005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현황과 발전 방안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현황과 전망 : 11 ~ 36

  33. [단행본] 이혜영 / 2005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효과 분석과 발전 방안 / 한국교육개발원

  34. [단행본] 이혜영 / 2006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활성화를 위한 가정․학교․지역사회 연계 협력 / 한국교육개발원

  35. [학술지] 이혜원 / 2005 / 학교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의 특성에 관한 연구Ⅰ: 서울시 강서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57 (4) : 119 ~ 146

  36. [인터넷자료] 한국일보 / ‘자산 불평등’ 갈수록 심화

  37. [학술지] 홍봉선 / 2004 /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 한국사회복지학 56 (1) : 253 ~ 282

  38. [단행본] Mason,J / 1999 / 질적연구방법론[Qualitative researching] / 나남출판

  39. [단행본] Miles, M.B / 1994 / Qualitative data analysis(2nd ed.) / Sage Publications

  40. [단행본] Spradley,J.P / 1979 / The ethnographic interview /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