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학교부적응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s for School Maladjusted Youth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예술심리치료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17권 제1호 통권 54호 (2021.03)바로가기
  • 페이지
    pp.389-407
  • 저자
    김재훈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2053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programs for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establishes the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art therapy programs for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variables of the art therapy program. For this study, 18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June 2020 were extracted and a wireless effect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effect size of the art therapy program for school maladjusted youth was 1.335, indicating a very large effect size. In addition, subgroup analysis and moderation effect analysis for each component of the art value program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ause of the heterogeneity of effect size and the background. As a result of subgroup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class and media, excluding the publication type,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number of sessions, the number of sessions, and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hrough the moderation effect analysis were fine art for maladapted youth. It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미술 치료 프로그램의 여러 변인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교부적응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18편을 추출하여 무선효과모형 분석(random-effect model)을 실시한 결과 학교부적응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1.335로 매우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학교부적응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요소별 하위 집단분석과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위집단분석 결과 출판형태를 제외한 학급별, 매체선 정기준에 따른 효과크기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조절효과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참여자수, 회 기 수, 회기별 시간, 주별 회기 수는 학교부적응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코딩절차
3.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크기
2. 출판 편향
2.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요소별 하위집단분석 및 조절효과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재훈 [ Kim, Jae-Hoon | 한양사이버대학교 미술치료학과 겸임교수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The Korean Arts Psychotherapy Association]
  • 설립연도
    2005
  • 분야
    의약학>작업치료학
  • 소개
    본 회는 장애 및 문제행동에 대한 예술치료 및 관련분야의 상호학제적 연구활동을 통하여 예술치료 및 예술치료교육 분야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함으로써 관련 분야 연구자들 및 현장전문가들의 학문적 인격적 수준향상을 도모하고, 인간의 육체적 사회적 정신적 영적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예술심리치료연구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 간기
    계간
  • pISSN
    1975-759X
  • 수록기간
    2005~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600 DDC 70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7권 제1호 통권 54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