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34.102
3.138.134.102
close menu
KCI 등재
『논어(論語)』의 시작과 끝 - 유가(儒家) 소수파 담론과 『장자』(莊子)의 계보 -
From the Analects to the Zhuangzi - The Zhuangzi and a Genealogy of the Minority Discourse in Confucian Tradition -
김시천 ( Kim¸ Sicheon )
DOI 10.32432/KOPHIL.32.3.1
UCI I410-ECN-0102-2022-100-000749374

20세기 철학사 연구는 한대(漢代)의 문헌 분류 개념인 ‘가’(家)를 서구적 학파(school)와 동일시해 온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철학사 이해는 지난 몇십 년간 새로운 문헌이 발굴되고, 개별 텍스트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다. 특히 선진 문헌에 대한 텍스트 이론적 연구는 보다 유동적이고 개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해 주었다. 나는 이 논문에서 루이스(Mark E. Lewis)가 말하는 ‘텍스트 전통’(textual tradition) 개념을 발전시켜, 저자가 아닌 전사자(轉寫者, transcriber) 혹은 전술자(傳述者, transmitter)를 중심으로 『논어』와 『장자』에 접근하고자 했다. 왜냐하면 『논어』를 비롯한 선진 문헌들은 스승 자신의 저술이 아니라 그의 제자들 또는 추종자들에 의해 전사(transcribe)되거나 전술(transmit)되고 엮여진(compile) 텍스트들이기 때문이다. 선진 문헌의 기록자들은 특정 스승의 제자나 추종자들로서, 이들은 글쓰기를 통해 자신들의 이론을 기입하는 근거로 스승을 이용―전통적 표현으로 가탁(假託)―하였다. 기록자들은 자신들의 입장과 실천을 스승의 말로 텍스트에 기입함(inscribe)으로써 스승이 남긴 위대한 가르침의 전술자(transmitter)로 자처함으로써 스승의 권위를 자신들의 권위로 가져오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입장이 달랐던 전술자들의 다양성은 텍스트 내부에 ‘당파적 분열의 증거’(evidence of factional splits)를 남겼다. 『장자』와 『논어』는 이러한 내적 분열의 증거를 보여주는 주요 사례다. 『장자』에 실린 ‘중언’(重言) 중에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등장하는 부분들과 『논어』를 비교, 연구하면 『장자』 텍스트의 성격은 20세기의 철학사 구도와 다른 시각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한다. 나는 이 글에서 20세기 철학사적 기술의 도식인 유가와 도가라는 이 분법의 틀로 『장자』에 접근하지 않고, 『장자』 철학의 유래와 그 문제의식을 밝혀내 보고자 한다. 첫째, 『장자』에 등장하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에 관한 서사들은 『논어』의 내적 분열과 관계되며, 그 저자들은 ‘덕행파’(德行派) 혹은 ‘안회파’(顔回派)라는 가설을 제안할 것이다. 둘째, 『장자』에 등장하는 공자와 그 제자들에 관한 서사는, 『논어』 소수파(minorité)인 안회파의 소수 문학적 성격의 이야기들로서 재평가될 수 있음을 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우리가 장자 철학 혹은 ‘노장 전통’이라 부르는 사상의 핵심은, 공문(孔門)의 내적 분열의 과정에서 형성된 이른바 ‘소수파-되기’의 흔적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들은, 우리로 하여금 『장자』가 유가와 도가 등의 학파와 갖는 관계는 물론 그 사상적 유래와 후대의 ‘노장 전통’에 대해 보다 심화된 연구와 토론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라 기대한다.

Studies o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have tended to equate the Han dynasty's literary classification concept of 'jia'(家) with the western ‘school’. Such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has reached a new turning point as new texts have been unearthed over the past few decades and research on the individual texts has been deepened. In particular, text-theoretic studies on Pre-Ch’in texts enabled a more fluid and open understanding. In this paper, I develop the concept of 'textual tradition' that Mark E. Lewis refers to, focusing on the transcriber or transmitter, not the author. In particular, I tried to approach the Analects and the Zhuangzi. This is because Pre-Ch’in texts are not the writings of the masters themselves, but texts transcribed, transmitted, and compiled by their disciples or followers. The writers of Pre-Ch’in literature are students or followers of a specific teacher, who used the teacher as a basis for writing down their theories through writing― ‘jiatuo’(假託), as traditional expressions. Writers tried to bring the master's authority to their authority by inscribed in the text of their positions and practices in the words of the teacher, and by themselves as transmitters of the great teachings left by the teacher. In the process, the diversity of followers with different positions left the ‘evidence of factional splits’ within the text. The Zhuangzi and the Analects are examples of evidence of this internal split. If we comparatively study the parts in which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ppear in the anecdotes in the Zhuangzi and the Analects, the nature of the Zhuangzi can be view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historiography of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uncover the origin of the philosophy of Zhuangzi and his followers without approaching the Zhuangzi through the framework of the dichotomy of Confucianism and Daoism, the schemas of philosophical history in the 20th century. First, I will propoes the hypothesis that the narratives about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ppearing in the Zhuangzi are related to the internal diversity of the Analects, and that the transmitters of the narratives are the followers, the 'Virtuous faction'(德行派) or the 'Yanhui faction'(顔回派). Second, it will be discussed that the narratives about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ppearing in the Zhuangzi can be reevaluated as the stories of a minority literary character of the Yanhui faction, which is a minority of the Analects.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core of the ideas that we call the Zhuangzi philosophy or the 'Lao-Zhuang tradition'(老莊傳統) today can be interpreted as a trace of the so-called 'becoming a minority' formed in the process of internal division of Kongzi school. It is expected that such discussions will enable us to further study and discuss the origins of Zhuangzi’s philosophy and the ‘Lao-Zhuang tradition’ later,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the the Zhuangzi with schools such as Confucianism and Daoism.

1. 『장자』와 철학사의 그늘: 유가인가, 도가인가?
2. 안회(顏回)의 침묵: 유도(有道)와 무도(無道)
3. 진(陣)과 채(蔡) 사이에서: ‘치’(治)에서 ‘유’(遊)로
4. 『장자』와 유가 소수파 담론의 계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