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누가복음 10:25-37은 소위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로 불리는 예수의 비유를 갖고 있는 단락이다. 사마리아인 비유(눅 10:30-35) 자체로도 완벽한 내러티브이지만 연구는 누가복음 10:25-37을 하나의 단위로 해석하고자 한다. 사마리아인 비유는 수사적 전략에 따라 사용된 일종의 예화이고, 비유가 종결된 후에도 예수와 율법사의 대화는 다시 이어지기 때문이다. 사마리아인 비유는 이웃사랑의 실천을 예시하는 모범적 비유로 분류되면서, 비유는 필요에 있는 사람에게 그 필요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윤리적 해석의 범주 안에 가두어졌다. 모범적 행동이라는 윤리적 해석은 사마리아 사람의 출현이 배태한 의미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비유가 일상과 비일상의 비교보다 이상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비유의 고유성이라는 하나님나라에 관한 신학적 실재와 비유의 극적 효과라는 청중의 실존적 참여의 의미성은 최소화될 수 밖에 없다.
하나님나라의 실재를 보여주기 위해서 연구는 누가복음 10:25-37의 인물들과 그들의 행동에 관련된 문학적 구성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여, 인물들의 행동을 통하여 암시된 삶의 다양성에 관련된 신학적 사유를 제시할 것이다. 연구는 예수와 율법사의 대화가 보여준 ‘의롭다고 인정됨과 이웃 되기’에 관련된 은유성과 더불어 예기치 못한 사람의 등장과 그의 자비로운 행동의 재현에 관련된 하나님나라의 실재를 확인할 것이다.

Luke 10:25-37 is a passage that has a parable of Jesus, the so-called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Luke 10:30-35) is a complete narrative. However, give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s an illustration used according to a rhetorical strategy, and the conversation between Jesus and the lawyer continues even after the parable ends, the present study seeks to interpret Luke 10:25-37 as a narrative uni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was classified as an example parable that exemplified the practice of loving one’s neighbor, and was categorized as an example that encourages ethical interpretation, which highlights the theme of actively providing for those in need. However, ethical interpretation of exemplary behavior can minimize the significance of the appearance of the Samaritan. If exemplary parables simply show ideal behavior rather than a comparison between the kingdom of God and the everyday life, the theological reality of the kingdom of God, which is the uniqueness of the parable, and the meaning of the audience"s existential participation, which is the dramatic effect of the parable, are minimized.
The present study has two main aims. The literary composition related to the characters and their actions in Luke 10:25-37 will be analyzed and then, it will suggest the theological thoughts related to the diversity of life implied through the characters’ actions. Finally, the study will confirm the reality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examining how appearance of an unexpected person and the representation of his merciful behavior relate to the Kingdom of God, and the metaphor related to ‘righteousness and becoming a neighbor’ shown in the conversation between Jesus and the lawyer.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문제 제기: 연구의 필요성과 이슈
Ⅲ. 서사적 은유
Ⅳ. 내러티브의 구조
Ⅴ. 하나님나라의 실재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230-001531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