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1920년대 중반부터 30년대 중반까지 식민지 조선에서의 근대적 지식 개념들이 경합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식민지 근대성이 지니는 모순은 곧 그에 대한 급진적 저항으로서의 사회주의 운동을 낳았다. 사회주의 운동은 기존의 ‘과학으로서의 지식’ 개념을 비판하며 ‘이데올로기로서의 지식’ 개념을 제기한다. 따라서 사회주의적 지식은 ‘당파성’에 입각한 ‘진리-효과’의 창출을 위한 담화 구성 전략을 모색하며, 식민지적 특수성에 실천적으로 적용가능한 방식으로 지식을 변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다른 한 편, 30년대 초중반 매우 급속히 확산된 모더니티는 근대적 일상을 구성했다. 대중들에게는 근대적 일상을 영위하기 위한 공통감각의 체화와 문화적 규범의 습득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용적 ‘정보’들이 기존의 계몽적 지식을 대신하여 새로운 ‘지식’으로 등재된다. 그 ‘지식’은 근대의 ‘이면’에 대한 인식까지 이르지 못했으나, 대중들로 하여금 근대적 ‘꿈’을 향유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이 이 시기 지식 개념은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각기 다른 방향에서의 인식에 따라 두 가지가 서로 경합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examine the modern knowledge concepts of colonial Joseon from the 1920s to the 30s.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modernity soon led to the socialist movement as a radical resistance to him. The socialist movement criticizes the existing concept of "knowledge as science" and raises the concept of "knowledge as ideology". Therefore, socialist knowledge seeks discourse composition strategies to create "truth-effect" based on "partisanship" and changes knowledge in a way practically applicable to colonial specificity. On the other hand, modernity, which spread very rapidly in the 30s, formed a modern daily life. The mass was required to acquire a common sense of modernity and cultural norms to lead modern dayly life. In this situation, practical "information" is listed as new "knowledge" instead of existing enlightening knowledge. The "knowledge" did not even reach the perception of modern contradiction, but it is clear that it allowed the mass to enjoy modern "dream". As such, the concept of knowledge during this period can be said to be competing with each other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colonial modernity in different direction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경합하는 지식들
2. 실천적 이데올로기로서의 사회주의 지식 기획
3. 근대성의 확장과 지식 개념의 재배치
4. 결론: 식민지 근대성과 두 개의 지식 개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