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1919년 상해 망명과 관련된 다음 두 가지 점을 해명하는 것은 춘원 이광수라는 인물과 그의 문학 전반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되며, 또한 이 두 가지는 이광수와 그의 문학의 본질을 중심으로 하여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첫째는 그가 허영숙과 함께 북경으로 사랑의 도피행을 감행하였다가 갑자기 귀국하게 된 정확한 동기와 시점이고, 둘째는 상해에 망명한 뒤에 2년간의 활동 가운데 쓴 글과 그 전후 시기 글 사이의 관계이다. 본고에서는 전자에 관해 집중 검토하는데, 이는 1918년 11월 11일 제1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벌어진 급박한 국제 정세의 변화가 한국 독립운동의 방향과 조직 구성에 미친 영향, 허영숙과의 결혼 문제 때문에 일생일대의 결단을 내리지 않을 수 없었던 이광수 개인사의 문제를 동시에 살펴보아야 풀릴 수 있는 문제다. 이광수는 허영숙과의 결합을 위해 북경으로 애정 도피를 했으나, 파리강화회의 대표 파견을 계기로 조선의 독립운동이 결정적 기로에 섰다는 판단 하에 귀국하고 도일하여 2·8독립운동에 가담하고 상해 망명을 결행할 수 있었다. 후자는 상해 망명 시절을 포함하여 그 이전과 이후의 이광수의 글의 핵심을 일관된 개조론으로 보면서 그 변화와 연속성을 동시에 살펴보는 작업인데, 이는 차후의 논문에서 밝힌다.

It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Chunwon Lee Gwang-su and the essence of his whole literature to explain the two following points. And these two points are organically interrelated centering on the essence of Lee Gwang-su’s character and literature. The first is the exact motive and time after he eloped with Heo Young-suk to Beijing, and The second is the relation between his writing during the two-year Asylum in Shanghai and his writing before and after the asylum. This treatise focuses on explaining the former. The former is a matter that can be clarified through scrutinizing the impact of the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fter the end of World War I on November 11 in 1918, on the direction and the organ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Lee Gwang-su’s individual problem who could not but make a life choice for the intermarriage with Heo Young-suk. Lee eloped with Heo to Beijing for the intermarriage but returned to his country and took part in the 2·8 independence movement in Japan and carried out the asylum in Shanghai judging tha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ame to stand at the crossroads with taking the opportunity of dispatching the representatives to Paris Peace Conference. The latter is to examine the change and the continuity of his writing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essence of Lee’s writing before, during and after the asylum is the argument of racial reconstruction. This matter will be dealt with in the next treatise.

목차

국문초록
1. 춘원 이광수의 상해 망명과 관련한 두 가지 문제 제기
2. 1918년 말의 국제 정세와 이광수의 상해 망명 배경
3. 춘원 이광수의 상해 망명의 과정이 의미하는 바와 새로이 제기되는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810-000986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