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退溪 李滉의 삶과 긍정적 성품

The Life and Positive Strengths of Toegye Lee Hwang

퇴계학논총
약어 : 퇴계학논총
2019 no.33, pp.7 - 37
DOI : 10.31781/toegye.2019..33.001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인용한 논문 수 :   -  
15 회 열람

퇴계의 연보에 나타난 퇴계의 삶을 욕망추구이론과 긍정심리학의 이론으로 살펴보았다. 욕망추구이론으로 퇴계 이황의 출사와 사직을 보면, 퇴계가 관직에 나아간 것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외재적 동기에서 비롯되었고, 관직에서 물러나고자 한 것은 을사사화 이후의 혼란한 정국에서 행복한 삶을 위한 유능감, 관계, 자율성을 실현할 수 없다는 내재적 동기가 작동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하여 퇴계는 기회가 될 때마다 고향에 돌아와 제자들을 가르쳤다. 인생의 고난과 역경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인 긍정적 성품의 6개 덕목과 24개 강점으로 퇴계의 생애를 살펴볼 때, 퇴계에게서 24개 강점을 모두 발견할 수 있었다. 퇴계는 가정적으로 가까운 지인의 연이은 죽음으로 많이 힘들었고, 혼란한 정국에서 종1품직에 오르기까지 귀양도 가지 않고, 70세의 천수를 누린 것은 그가 지닌 여러 긍정적 성품으로 인한 것이라 판단된다. 이를 통해 퇴계는 지혜와 지식, 자애, 용기, 절제, 정의, 초월의 덕목을 모두 지닌 위대한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그는 위대한 학자이자 교육자, 시인, 서예가, 관료로 만세의 사표가 될 수 있었다고 파악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life and positive strengths of Toegye Lee Hwang in the annals of Toegye with the theory of positive psychology. Looking at the advance and resignation of Toegye Yi Huang through the desire-pursuing theory, Toegye's entry into government office resulted from external motives to pursue happiness. The desire to step down from office stems from an inherent motive. This is because they cannot satisfy the sense of competence, relationships and autonomy to realize a happy life. So, if He had the chance, he returned to his hometown to educate his students. When looking at the life of Toegye with the six virtues and 24 strengths to overcome hardships and adversity, and the 24 strengths of Toegye, one could find 24 of its 24 strengths. In the case of Toegye, he suffered a lot from the successive deaths of his close acquaintances, and enjoyed a 70-year-old without returning to the country in confusion due to his positive strengths. He is a great man of wisdom, knowledge, humanity, courage, temperance, justice, transcendence.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he was a great scholar, educator, poet, calligrapher, and bureaucrat who could have become the resignation of all ages.

퇴계 이황, 일상의 삶, 출사와 사직, 긍정심리학, 긍정적 성품, 행복
Toegye Lee, life, happiness, positive psychology, desire-pursuing theory. motivation

  • 1. [기타] / 明宗實錄
  • 2. [기타] / 英祖實錄
  • 3. [단행본] 권석만 / 2008 / 긍정심리학 : 행복의 과학적 탐구 / 학지사
  • 4. [단행본] 권석만 / 2011 / 인간의 긍정적 성품 : 긍정심리학의 관점 / 학지사
  • 5. [학술대회] 송정숙 / 2008 / 퇴계 이황의 서원론 : 서원기(書院記)와 <서원십영(書院十詠)>을 중심으로 / 퇴계학부산연구원주최 2008년도 전통문화강좌
  • 6. [학술지] 송정숙 / 2009 / 퇴계 이황 연구의 현황과 과제(1): 석ㆍ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퇴계학논총 / 15
  • 7. [단행본] 윤천근 / 2003 / 퇴계 이황은 어떻게 살았는가? / 너름터
  • 8. [단행본] 李章佑 / 1991 / 退溪全書1 / 退溪學硏究院
  • 9. [단행본] 鄭錫胎 / 2001 / 退溪先生年表月日條錄1-4 / 退溪學硏究院
  • 10. [학술지] 정석태 / 2018 / 퇴계 이황의 『주역』 공부-퇴계 이황의 주자학 이해의 심화과정에 대한 한 고찰 / 동양한문학연구 / 51 (51) : 237 ~ 51 kci
  • 11. [단행본] 셀리 케이건 / 2018 / 죽음이란 무엇인가 / 엘도라도
  • 12. [단행본] 최인철 / 2018 / 굿 라이프 : 내 삶을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 21세기북스
  • 13. [단행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14. [기타] 정창권 / 2015 / 정창권의 조선시대 부부사랑법(1): 퇴계 이황 ① / 프리미엄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