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동학의 평등과 조선의 변화

Equality in Donghak and Changes of Chosun Society

법사학연구
약어 : -
2021 no.64, pp.141 - 178
DOI : 10.31778/lawhis..64.202111.141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법사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4 회 열람

동학은 기본적인 교리로서 인간의 본질적 평등을 주장하였고, 이를 구체화하여 조선의 신분제도와 적서차별, 어린이와 부인에 대한 차별을 부정하는 가르침을 교인들에게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당시의 신분제 질서가 그대로 유지되지 않으며 미래에는 극복될 수 있음을 주장하여 민중들에게 희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동학은 신분에 상관없이 동학교인이라는 지위만으로 차별없이 교류와 사귐을 실천하고 서로 도우며 존중하는 종교공동체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교조신원운동을 통해 탐관오리의 불법적인 공권력작용에 맞선 사회운동으로 나아갈 수 있었고 교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동학교도로 몰려 수탈의 대상이 된 사람들까지 이에 호응함으로써 민중들은 동학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결집하였고, 이는 잠재되어 있던 서양과 일본 등 외세에 대한 대항의식과 결합하여 이후 동학농민혁명으로 이어지는 토대가 되었다. 동학농민혁명에 의하여 이루어진 집강소 통치는 이러한 동학의 기본교리와 교조신원운동을 통하여 발전한 평등론을 실제 사회에 구현하기 위한 좋은 기회가 되었다.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된 상황에서 동학농민혁명은 신분질서는 물론 기존의 권력집단에 의하여 유지되던 모든 질서가 한꺼번에 파괴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명의 경험은 관련자들에게 차별이 없는 사회가 어떤 모습인지 실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던 점에서 큰 의미를 가졌다. 이때 해결되지 못한 평등의 요구들은 잠재되어 이후에도 중요한 평등실현을 위한 과제들로 다시 등장할 것이다.

Donghak had the essential equality of human beings as a basic doctrine, and by embodying this, it presented teaching that denies the system of discrimination based on legitimacy, age and sex. Above all, it offered hope to the people by arguing that the class system at that time was not maintained and that it could be overcome in the future. Donghak formed a religious community that practices exchanges and friendships without discrimination. Through the movement to vindicate the founder’s innocence, and to solve the problem of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it was able to move forward as a social movement against the illegal action of public power. People was extensively gathered around Donghak and it became the foundation that l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bined with the latent consciousness against foreign powers, such as the West and Japan. The rule of people achieved b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a good opportunity to realize the basic doctrine of Donghak and the theory of equality in actual society. The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had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relevant people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what a society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status would look like.

동학, 평등, 교조신원, 동학농민혁명, 종교의 자유
Donghak, equality, freedom of religion, peasant revolution, the movement to vindicate the founder’s innocence

  • 1. [기타] / 1991 / 강령주문․본주문, 주문, 천도교경전 / 천도교중앙총부
  • 2. [기타] / 교훈가, 용담유사, 천도교경전
  • 3. [기타] / 도덕가, 용담유사, 천도교경전
  • 4. [기타] / 안심가, 용담유사, 천도교경전
  • 5. [기타] / 논학문, 동경대전, 천도교경전
  • 6. [기타] / 포덕문, 동경대전, 천도교경전
  • 7. [기타] / 내수도문, 해월신사법설, 천도교경전
  • 8. [기타] / 대인접물, 해월신사법설, 천도교경전
  • 9. [기타] / 부인수도, 해월신사법설, 천도교경전
  • 10. [기타] / 부화부순, 해월신사법설, 천도교경전
  • 11. [기타] / 수도법, 해월신사법설, 천도교경전
  • 12. [기타] / 양천주, 해월신사법설, 천도교경전
  • 13. [기타] / 천지인․귀신․음양, 해월신사법설, 천도교경전
  • 14. [기타] / 포덕, 해월신사법설, 천도교경전
  • 15. [단행본] / 1996 / 나암수록 / 사예연구소
  • 16. [단행본] / 세장년록
  • 17. [단행본] / 취어
  • 18. [단행본] / 1996 / 김약제일기 / 사예연구소
  • 19. [단행본] / 1996 / 동학문서 / 사예연구소
  • 20. [단행본] / 1996 / 갑오동란록 / 사예연구소
  • 21. [단행본] / 피난록
  • 22. [단행본] / 1996 / 백곡지 / 사예연구소
  • 23. [단행본] / 1996 / 갑오일기 / 사예연구소
  • 24. [단행본] / 2007 /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1 /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 25. [단행본] / 2008 /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4 /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 26. [단행본] / 2009 /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6 /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 27. [단행본] / 2012 /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10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 28. [단행본] / 2015 / 학초전 1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 29. [단행본] / 1985 / 한국민중운동사자료대계, 1894년의 농민전쟁편 부동학관계문서1:동학문서 / 여강출판사
  • 30. [기타] / 각도유생 신 박승호 등, 통장, 한국민중운동사자료대계, 1894년의 농민전쟁편 부동학관계문서1:동학문서
  • 31. [기타] / 도소 조가회통, 통장, 한국민중운동사자료대계, 1894년의 농민전쟁편 부동학관계문서1 :동학문서
  • 32. [기타] / 제음․감결, 통장, 한국민중운동사자료대계, 1894년의 농민전쟁편 부동학관계문서1 :동학문서
  • 33. [기타] / 1996 / 己丑三月初十日 新定節目 / 해월문집
  • 34. [기타] / 通文 / 해월문집
  • 35. [기타] / 통문 무자 / 해월문집
  • 36. [단행본] 김현영 / 2015 / 사료 고종시대사 1 / 국사편찬위원회
  • 37. [단행본] 송병기 / 1970 / 한말근대법령자료집 I / 대한민국국회도서관
  • 38. [단행본] 오지영 / 1979 / 동학사상자료집 1 / 아세아문화사
  • 39. [단행본] 이돈화 / 1979 / 동학사상자료집 1 / 아세아문화사
  • 40. [단행본] 황현 / 2016 / 오동나무 아래에서 역사를 기록하다 / 역사비평사
  • 41. [단행본] 배항섭 / 2002 / 조선후기 민중운동과 동학농민전쟁의 발발 / 경인문화사
  • 42. [단행본] 안병욱 / 1996 / 1894년 농민전쟁연구 5 / 역사비평사
  • 43. [단행본] 우윤 / 1993 /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 역사비평사
  • 44. [단행본] 정긍식 / 2018 / 조선의 법치주의 탐구 / 태학사
  • 45. [단행본] 정종섭 / 2018 / 헌법학원론 / 박영사
  • 46. [단행본] 조경달 / 2009 / 민중과 유토피아 / 역사비평사
  • 47. [단행본] 조지만 / 2020 / 대명률직해 / 아카넷
  • 48. [단행본] 키이스 포크 / 2009 / 시티즌십 / 아르케
  • 49. [단행본] 표영삼 / 2005 / 동학 2 / 통나무
  • 50. [학술지] 김경애 / 1984 / 동학, 천도교의 남녀평등사상에 관한 연구 –경전․역사서․기관지를 중심으로- / 여성학논집 / 1
  • 51. [학술지] 류해춘 / 2018 / 동학가사에 나타난 근대의식과 남녀평등 / 어문학 (140) : 123 ~ 140 kci
  • 52. [단행본] 박광성 / 1981 / 전통시대의 민중운동 하 / 풀빛
  • 53. [학술지] 박대길 / 2010 / 東學의 敎祖伸寃運動과 斥倭洋 / 전북사학 (37) : 231 ~ 37 kci
  • 54. [단행본] 박맹수 / 1993 /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 역사비평사
  • 55. [학술지] 박맹수 / 2007 / 교조신원운동기 삼례집회에 대한 재검토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8) : 1 ~ 28 kci
  • 56. [학술지] 박성주 / 2010 / 東學의 창도와 기존 宗敎와의 관계 / 동학연구 (28) : 19 ~ 28 kci
  • 57. [학술지] 박용옥 / 1981 / 동학의 남녀평등사상 / 역사학보 / 91
  • 58. [단행본] 박찬승 / 2009 / 1894년 농민전쟁연구 5 / 역사비평사
  • 59. [단행본] 배항섭 / 1995 / 1894년 농민전쟁연구 4 / 역사비평사
  • 60. [학술지] 신기현 / 1989 / 동학의 평등 인식 / 호남정치학회보 / 1
  • 61. [학술지] 안외순 / 2016 / 김천과 <내수도문>, 그리고 동학의 배려적 양성평등주의 / 동학학보 (41) : 41 ~ 41 kci
  • 62. [학술지] 오문환 / 2000 / 동학의 도덕적 평등주의 / 동학학보 / 2
  • 63. [학술지] 이경원 / 2010 / 교조신원운동기 동학지도부의 유교적 측면에 대한 고찰 / 역사연구 (19) : 7 ~ 19 kci
  • 64. [학술지] 이명남 / 1995 / 초기동학사상의 사회평등적 의의에 관한 고찰 / 부산정치학회보 / 5
  • 65. [학술지] 이현희 / 2004 / 19세기 한국사회와 교조신원운동 – 동학농민혁명의 배경분석- / 동학학보 / 8
  • 66. [학술지] 전종익 / 2009 / 정조시대 천주교 전래와 평등 / 법사학연구 (40) : 105 ~ 40 kci
  • 67. [학술지] 정영희 / 2004 / 동학의 인간평등사상 연구 / 동학학보 / 0 (7) : 177 ~ 7 kci
  • 68. [학술지] 허수 / 2013 / 교조신원운동기 동학교단과 정부 간의 담론투쟁―유교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연구 (66) : 7 ~ 66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