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1895년에 공식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代人에 주목하여 이들이 민사재판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는 조선전기 外知部의 후신이자 현대의 法務士와辯護士의 전신이라 할 대인의 실체를 규명함으로써 법률 전문가 집단의 성장 과정을 역사적맥락에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895년 이후 도입된 대인은 법률에 해박한 전문가로 보기는 어려운 존재였다는 사실이다. 현재 법원도서관에 소장된 근대 민사판결문을 분석해본 결과 1905년 변호사법 제정 이후 변호사 출신 대인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가족이나친족, 지인 등이 대인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등장하는 대부분의 대인이 재판에 참여하는 횟수가 1회에 그쳐 이들이 직업적으로 소송 대리인의 역할을 했다고 보기 어려웠다. 아울러 대인이 관여한 재판의 비율도 전체 분석 대상 재판의 6.5%에 불과하여 전체적으로 재판에 대인이 등장하는 사례는 소수에 그쳤다. 하지만 고등재판소, 평리원에서는 대인참여 재판의 비중이 32.1%로 높게 나타났는데, 대인 참여 재판의 증가 현상은 1905년 변호사법 제정 이후 변호사 출신 대인의 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인이 관여한 재판 중에서 특히 변호사 출신 대인의 활동 양상을 살펴본 결과 光武 연간에 등록한 28명의 변호사 가운데 모두 17명의 변호사 출신 대인을 분석 대상판결문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변호사 출신 대인의 등장은 신식 법제도를 익힌 법률전문가에 의한 서구식 法理의 도입, 代審 소송의 일반화를 가져와 대한제국기의 근대적 소송, 재판제도의 정착에 기여했다.

키워드

代人, 근대 민사판결문, 外知部, 변호사법, 변호사

참고문헌(21)open

  1. [기타] 강릉원주대 인문학연구소 / 2018 / 법원도서관 소장 근대 민사판결문 DB

  2. [기타] 송병기 / 1971 / 한말근대법령자료집 Ⅰ․Ⅱ․Ⅳ․Ⅴ /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3. [기타] 도면회 / 2007 / 法部訴狀 1~7 / 서울대학교 규장각

  4. [기타] / 經國大典

  5. [기타] / 牒報 (규 26300)

  6. [기타] / 慶尙南北道各郡訴狀 (규 19154)

  7. [기타] / 독립신문

  8. [기타] / 大韓每日申報

  9. [기타] / 皇城新聞

  10. [단행본] 박병호 / 1974 / 한국법제사고 / 법문사

  11. [단행본] 대한변호사협회 변호사사간행위원회 / 1979 / 韓國辯護士史 / 대한변호사협회

  12. [단행본] 조윤선 / 2002 / 조선후기 소송연구 / 국학자료원

  13. [학술지] 문준영 / 2012 / 한말과 식민지시기 재판제도의 변화와 민사분쟁 / 법사학연구 (46) : 247 ~ 304

  14. [학술지] 박소현 / 2010 / 그들이 범죄소설을 읽은 까닭은? : 공안소설과 명청시기 중국의 법률문화 / 중국소설논총 (31) : 281 ~ 305

  15. [학위논문] 손경찬 / 2015 / 개화기 민사소송제도에 관한 연구

  16. [학술지] 손경찬 / 2016 / 한국 변호사제도의 기원과 의의 - 舊韓末 民事判決集의 변호사를 중심으로 / 법학논고 (53) : 299 ~ 328

  17. [학술지] 심재우 / 2013 / 조선후기 소송을 통해 본 법과 사회 / 동양사학연구 (123) : 87 ~ 119

  18. [학술지] 심재우 / 2016 / 조선시대 소송제도와 外知部의 활동 / 명청사연구 (46) : 107 ~ 137

  19. [학술지] 이승일 / 2016 / 근대 한국 민사판결록의 편책과기술(記述)의 분석 - 법원 소장 판결록을 중심으로 - / 법사학연구 (53) : 155 ~ 191

  20. [학술지] 한상권 / 2008 / 조선시대 소송과 외지부(外知部) ― 1560년 「경주부결송입안(慶州府決訟立案)」 분석 ― / 역사와 현실 (69) : 255 ~ 292

  21. [단행본] 夫馬進 / 1993 / 中國近世の法制と社會 / 京都大學 人文科學硏究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