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국제결혼부부의 사회경제적 상대지위와 부모 지원에 대한 부부권력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 국제결혼 증가의 배경에는 한국 남성은 물론 혼인이주여성이 결혼을 통해 부모를 부양하고자 하는 욕구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 논문은 외국인 아내와 한국인 남편의 사회경제적 상대지위가 양가 부모 지원에 대한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에 분석 초점을 맞추었다. 자원이론과 젠더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부모를 지원하는 의사결정력에 관한 네 가지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2018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범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상태나 임금수준에서 남편보다 상대적 우위를 지니는 외국인 아내들이 친정부모 지원에 대해서는 보다 강한 의사결정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시부모에 대한 지원의 경우, 외국인 아내의 취업상태나 임금수준의 상대적 우위가 유의한 의사결정력으로 전환되지 않았다. 한편, 한국인 남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양가 부모 지원에 대한 의사결정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남편의 임금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도 처가부모 지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남편이 주도하는 양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제결혼부부의 사회경제적 자원과 부부권력 간 관계의 비대칭성을 의미하며, 부계가족 지향의 사회규범이 외국인 아내의 의사결정력을 제한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marital power regarding the issue of supporting parents for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One driving force behind the rise in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consisting of foreign woman and Korean man in Korea has been the desire and need to support parents via marriage for both sides. This paper analyzed whether foreign wives are able to leverage their relative socioeconomic resources to exercise decision-making power about supporting their own and their husband’s parents, respectively. We used the 2018 Korean Multicultural Family Survey to carry out a series of multinomi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if foreign wives have higher relative status in terms of employment and income, they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ercise dominant decision-making power about supporting their own parents. However, the positive relationship lost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decision-making about supporting their husband"s parents. In contrast, Korean husband"s relative socioeconomic status showed a non-linear relationship with their decision-making power; their higher relative status in employment and incom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ominant decision-making for supporting parents, but their lower relative status also strengthened their decision-making to a limited degree. This set of findings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decision-making power is asymmetrical for foreign wives and Korean husbands in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the Korean patrilineal family system operating to limit foreign women’s marital power to make decisions about the issue of supporting husband’s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자료와 연구대상의 특성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