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21세기 대학의 역할과 리버럴아츠칼리지 ─ 아키타 국제교양대학이라는 물음 ─
The Role of the University and the Liberal Arts College : Asked by 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바로가기
  • 간행물
    비교일본학 바로가기
  • 통권
    제44집 (2018.12)바로가기
  • 페이지
    pp.21-38
  • 저자
    김태경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48048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oday’s rapidly changing world, both universities and the spread of knowledge are undergoing fundamental changes. The situation that we now face in the 21st century, due to digitalization and the internet, is similar to that which was faced in the 16th century, when the printing revolution changed the root and access of knowledge. If this is so, will the notion of the university disappear, in front of the 2nd knowledge revolution or will it go through an intellectual transformation? 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 was founded in 2004 just outside the city of Akita. It is seen as a pioneering experiment and is currently the most popular university in Japan.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can be simplified into two axes; international and liberal.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and potential role that universities may play, by critically reviewing the implication of ‘success’ at 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 Interestingly, during this current crisis faced by universities, universities have now turned their eyes towards the Liberal Arts Colleges, which is seen as an enhancement of the international liberal arts education. In other words, a new era of bo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eoliberalism, is paradoxically calling for a revival of the Liberal Arts as both an ‘international’ and ‘liberal’ method of restoring the attitude of human education. In fact, the idea of the university is originally ‘international=universal’ and it is ‘liberal=convergent’ in principle. It is therefore very suggestive that the desirable talent and education required by the new age is the nature of the university.
한국어
오늘날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대학과 지식은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대학의 위기가 말해지는 오늘날 다시 말해 디지털화와 인터넷 보급으로 21세기 우리가 직면한 상황은 그야말로 인쇄혁명이 지식의 근저를 바꾸었던 16세기와 유사하다. 그렇다면 제2의 지식혁명 또는 지적전환 앞에서 대학은 이대로 사라지고 말 것인가. 2004년 아키타 외곽에 새로이 설립된 국제교양대학(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은 선구적인 실험으로 현재 일본에서 가장 주목받는 대학이다. 국제교양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이름 그대로 ‘국제’와 ‘교양’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본고는 국제교양대학 ‘성공’의 함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21세기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흥미로운 것은 대학의 위기가 말해지는 가운데에 대학들이 눈을 돌린 곳이 리버럴아츠칼리지 즉 국제교양교육의 강화라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4차 산업혁명 또는 신자유주의라는 새로운 시대가 역설적이게도 ‘국제’ ‘교양’으로서의 리버럴아츠의 부활과 인문교육 본연의 자세를 회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대학은 태생적으로 ‘국제=보편’적이자 원리적으로 ‘교양=융합’적인 존재였다.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게 된 바람직한 인재상과 교육이 바로 대학 본연의 자세라는 점은 매우 시사적이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대학의 등장과 위기 그리고 지적 전환
3. 아키타 국제교양대학의 실험 뒤집어보기
4. 리버럴아츠와 4차 산업혁명 또는 신자유주의
5.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

  • 김태경 [ /Kim, Tae Kyeong | 가천대학교 리버럴아츠칼리지 조교수, 일본문화론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Global Center for Japanese Studies]
  • 설립연도
    2008
  • 분야
    인문학>일본어와문학
  • 소개
    본 연구소는 일본학 관련의 학문의 한 분야를 발굴·개척하여 문화의 상호작용에 의한 교섭에 대해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일본학의 다양한 면모를 현재화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일본학 국제비교란 국가나 민족이라는 분석 단위를 넘어 동아시아라고 하는 문화복합체를 상정하고 그 내부에서 문화생성, 전파, 접촉, 변용에 주목하여 종합적인 문화교섭의 모습을 복안적이고 종합적인 견지에서 해명하려고 하는 새로운 일본학 연구의 하나인 문화교섭학을 소재로 하여, 이미 한일교류사를 중심으로 한 문화교류사의 연구축적을 바탕으로 이를 더욱 확대하여 글로벌한 시점에서 문화교섭학을 중심으로 일본의 문화교류연구를 학문체계로서 구축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소는 첫째, 다대다 관계의 문화적 복합체로서 인식하는 복안적 시좌를 공유하고 국제적 발진력을 가진 자립한 신진연구자를 육성하고, 둘째, 종래의 2개국간 혹은 학문 문화별 문화연구를 넘어 새로운 학문 분야로서의 일본 문화교섭학을 창출하고 그 이론과 방법, 구체적 사례를 연구하며, 셋째, 각국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교류연구, 대외관계사 연구 등을 국제적으로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동아시아 각 지역의 연구를 리드하고 고유의 국제학회를 가지는 연구허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비교일본학 [Comparative Japanese Studies]
  • 간기
    연3회
  • pISSN
    2092-5328
  • 수록기간
    1993~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09 DDC 30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비교일본학 제44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