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저출산에 의한 군 병역자원 감소와 여성의 사회적 활동 증가로 정치적 이슈인 모병제와 여성 징병제에 대한 한국군 병역제도 변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3년(2018년 1월 1일 ~ 2021년 12월 31일)을 분석대상 기간으로 설정하고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모병제와 여성 징병제에 관한 사회적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 포털 3곳의 웹 문서, 뉴스, 블로그, 카페, 학술정보전체, 페이스북 등의 총 14,176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에서 추출된 키워드로 빈도, TF-IDF, 연결중심성 및 구조, CONCOR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병역제도와 관련된 모병제와 여성 징병제에 관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을 통해 사회적 인식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적 인식과 부합한 한국군 병역제도 변화의 방향과 병역제도의 정책적 발전을 제언하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ocial recognition of the changes in Korean Military Service System, especially in volunteer military system and female conscription that became political issues with the decreasing military service resources and increasing women’s social activities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To achieve this, recent three years (Jan. 1, 2018 to Dec. 31, 2021) were set as analysis period and big data techniques were used before collecting total 14,176 pieces of data such as web document, news, blogs, cafe, academic information, and facebook from three representative portals for identifying social recognition of volunteer military system and female conscription. Frequency, TF-IDF, degree centrality and structure, and CONCOR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keywords extracted from data. Based on such analyses, this study could identify social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military system and female conscription by using objective and empirical method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direction for changing Korean military service system in accordance with social recognition and policy development of conscrip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및 모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50-00116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