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아시스〉는 가족과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타자화된 홍종두와 한공주가 그들만의 공간에서 주체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그들은 가족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사회에서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받지 못한다. 가족과 사회적 타자로서 경계인이 된 종두와 공주가 〈오아시스〉에서 어떻게 주체성을 회복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행위소 모델을 원용하였다. 그리고 등장인물의 행동과 심리상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활용하여 〈오아시스〉의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가족과 사회에 의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타자로서의 삶을 강요받았던 종두와 공주가 서로 소통하면서 사랑하는 주체적인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그들이 자신들을 타자로 규정한 현실에 대한 환상을 통해 물리적 공간의 경계를 넘어선 공간으로서의 오아시스를 구축함으로써, 가족과 사회의 억압적 시선에서 벗어난 삶을 살아가는 존재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아시스〉는 사회적 편견에 의해 타자로 대상화된 존재들의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담보한 영화라 할 수 있다.

〈Oasis〉 is a film depicting the process of regain subjectivity in their own space by the characters Hong Jong-du and Gong-ju Han who are separated from both their families and society and become others. They are neither recognized by their families nor respected as individuals by society. Hence, the Actantial model is used to analyze how Jong-du and Gong-ju, who become marginal both in family and society as others, regain their subjectivity in 〈Oasis〉. In addition, space in 〈Oasis〉 is analyzed through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in order to examine the behaviour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aracters in detai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Jong-du and Gong-ju, who were forced to live as others by their families and society against their will,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fell in love. Beyond the eyes of family and society, Jong-du and Gong-ju find an oasis in a realistic space beyond the boundaries of physical space by sharing a fantasy of reality that they are not defined as others. Therefore, we can say that 〈Oasis〉 shows a new perception of the subjectivity of beings who are objectified as others by social prejudi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가족과 사회적 타자로서의 경계인
Ⅲ. 현실과 환상적 공간으로서의 오아시스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809-001315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