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허영자 시에서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여성의 정체성 양상은 주목할 부분이다. 여성의 정체성은 시적 자아가 어떻게 여성의 자리를 인식하고 여성으로서의 생의 경험을 체현하는지를 드러내는 것으로서, 근대화의 경쟁의 논리가 사회를 지배해 왔던 우리의 근대사에서 여성이 여성으로서 겪는 여성주체의 변화과정을 보여준다.
허영자 시의 시적 자아는 가부장제 권력 시스템에 동화된 여성 형상과 스위트홈이라는 가족 중심주의 내에서의 아내이자 주부의 역할, 그리고 어머니의 역할로 여성적 정체성을 나타낸다. 시적 자아는 욕망을 발현시키려는 자신과 현실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것에서 오는 슬픔을 삶의 근원적인 조건으로 받아들인다. 보수적 규범의 여러 담론들에 구속되어 있는 것이다. 시적 자아는 가족을 위한 조력자와 아이의 미래까지 책임지는 보호자의 위치에서 머문다. 하지만 젠더 규범의 불평등을 인식하고 그 속에서 방황하는 인식을 드러낸다.
여성으로서 제도 내 모순을 인식한 시적 자아는 갈등하고 좌절하며 자신의 상황에 우울함을 느낀다. 일상의 삶과 그 관계 속을 벗어나 여행을 떠나고 시선을 바깥으로 두는 태도를 취하지만, 혼자만의 생각에 고착되어 자신이 처한 현실적 상황에 대한 명확한 파악 없이 우울한 상황에 몰입한다. 이처럼 허영자의 시는 사회적 관계와 맞물려 나타난 여성되기를 체화하고 수행해 나가는 여성적 정체성의 과정을 보여준다.

It is noteworthy that the identity of women is consistently flowing in Heo Young Ja"s poems. The identity of women reveals how the poetic self recognizes the place of women and embodies the experience of life as a woman. The logic of competition in modernization shows the process of change of women subject to women in our modern history that has dominated society . The identity of a woman in Heo Young Ja"s poems appears as a wife, a housewife" s role, and a place of maternity in a family-centered attitude of a female figure and a sweet home assimilated into a patriarchal power system. The poetic self senses the distance between self and reality to express desire and accepts sorrow coming from it as a fundamental condition of life. It is bound to various discourses of conservative norms. The poetic self renounces self-growth in the position of a caregiver for the family and a caregiver responsible for the child"s future. However, it reveals the perception of wandering in the gender system. As a woman, a poetic self, aware of the contradictions in the system, is confused and frustrated, and feels lonely in her situation. A poet takes a trip away from everyday life and relationships, leaving her gaze out of the picture, but she gets stuck in her own thoughts and is only immersed in depressed situations without a clear understanding of her actual situ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젠더 체계 속에 동화된 여성형상
Ⅲ. 젠더 규범의 불평등 인식
Ⅳ. 내면을 지향하는 여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809-001315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