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61.155
3.137.161.155
close menu
KCI 등재
암호화폐 투자의 자기경영 서사 -투자 경험 텍스트를 중심으로-
Self-Management Narrative of Cryptocurrency Investment - Focusing on Investors’ Experience -
권창규 ( Kwon¸ Changgyu )
인문과학 83권 109-149(41pages)
DOI 10.31310/HUM.083.04
UCI I410-ECN-0102-2022-000-000991373

본 논문은 암호화폐 투자 행위의 성격에 주목한 문학·문화연구다. 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한 변동성과 미비한 규제 장치로 도박장의 외양을 띠고 있으나 그렇다고 투자 행위가 비이성적 과열과 충동으로 단정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의 투자 경험 텍스트를 살펴 암호화폐 투자자가 신자유주의적 자기경영의 성격을 지닌 투자자 주체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을 밝혔다. 암호화폐 투자는 주식 투자 이상으로 많은 학습량을 필요로 하는 물량전이자 실시간 정보를 섭렵해야하는 속도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또한 시장이 혼란한 만큼 ‘멘탈 관리’로 일컬어지는 마음 수련과 정신 훈련이 강조되면서 투자 일반의 법칙인 자기계발 및 경영의 원리를 보여준다. 암호화폐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의 가능성이 자산의 시대를 극대화하는 물리적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면, 자기경영의 원리는 자산화 시대의 철학적 기반으로 기능한다. 블록체인 기술의 다양한 가능성이 ‘코인’으로 압축되어 명명되는 점은 암호화폐가 투기 자산으로 기울어졌다는 점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본 연구는 투기 시장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정치적, 기술적 배경을 짚으면서 특히 기술 물신을 덧붙여 경계했다.

This thesis is a cultural stud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ryptocurrency investment experience. The cryptocurrency market is similar to a gambling house in appearance due to its rapid volatility and lack of regulations, but investment practice cannot be categorized as a behavior based on irrational impulses. Compared to stock investment, cryptocurrency investment requires a greater amount of learning, and is characterized by information warfare that requires access to information in real time. In addition, as the market is chaotic, mental training, also called ‘mental management’, is emphasized, demonstrating the principle of self-management, which is the general law of investment. This paper reveals that cryptocurrency investors exist as an extension of the neoliberal self-management subject by analyzing the on- and off-line investment experience records. The fact that the various technological possibilities of the blockchain, which forms the basis of cryptocurrency, are compressed and named as ‘coins’ clearly reveals that cryptocurrency has become a speculative asset, unlike the democratic money concept of early Bitcoin. In addition, this study points out the socioeconomic, political, and technological background surrounding the speculative cryptocurrency market, and especially takes precaution against technological fetishism.

Ⅰ. 자산 시장 호황 속의 ‘코인 열풍’
Ⅱ. 투자 동기: ‘돈 복사’의 상상부터 포트폴리오 운영까지
Ⅲ. 투자의 시간: 정보 전쟁과 자기 책임경영의 고투
Ⅳ. 가속화하는 자산의 시대, 기술 물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