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81.166
18.218.81.166
close menu
KCI 등재
경종 대의 왕세제 책례-책례도감의 준비 과정과 의궤 편찬-
The investiture ceremony of Wangseje in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강문식 ( Kang Moon-shik )
한국사상사학 73권 187-225(39pages)
DOI 10.31309/SKHT.73.202304.6
UCI I410-ECN-151-24-02-088647950

본고는 1721년(경종 1)에 거행된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제(王世弟) 책봉 과정을 기록한 『영조왕세제책례도감의궤(英祖王世弟冊禮都監儀軌)』의 내용을 분석하여 당시 책례도감의 의례 준비 과정 및 그것이 갖는 예제적·정치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1721년 8월 20일 연잉군의 저사(儲嗣) 책봉이 결정된 후 조선 정부는 책례를 주관할 도감의 관원을 임명했으며, 또 왕세제·왕세제빈의 죽책문·교명문 등을 작성할 제술관·서사관을 인선하였다. 노론은 책례를 통해 자신들이 추진한 건저(建儲)의 정당성을 천명하고자 했고, 이에 따라 도감 관원과 제술관·서사관 등을 노론 관료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소론 조태구를 책례도감 도제조로 임명하고 소론 관료 일부를 제술관 예차나 서사관에 배치하는 등 건저에 대한 소론의 반발을 무마하고 동의를 얻어내려는 시도도 하였다. 반면, 소론은 노론이 주도하는 책례에 동참하는 것이 노론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그에 따라 조태구는 도제조 직을 사퇴하였고, 최규서·이정신 등도 신병을 이유로 책례 관련 직책을 사양하였다. 조선에서 국왕의 후계자가 ‘왕세제’로 불린 경우는 연잉군의 사례가 유일하며, 따라서 왕세제 책례는 사실상 처음 거행되는 의례였다. 이 때문에 책례를 준비할 때 전범으로 삼을 전례(前例)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책례도감에서는 1690년(숙종 16)에 거행된 경종의 왕세자 책봉에 관한 기록을 가장 중요한 전범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미진한 사안들은 경종의 가례와 효종의 왕세자 책봉 관련 기록으로 보완하였다. 조선 정부는 저사 책봉이 결정된 후 연잉군의 거처를 궁으로 옮기기로 하고 9월 6일을 입궐일로 확정했다. 또 왕세제·왕세제빈의 책례일을 9월 26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책례 준비 일정이 한 달 정도에 불과한, 촉박한 상황을 맞게 되었다. 당시 소론은 건저 논의 절차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강하게 반발했는데, 이에 노론은 정치적 논란이 지속되면 건저의 정당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고 책례 일정을 신속히 마무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책례도감에서는 준비 시간의 부족을 메우기 위해 작업 인력의 추가 투입과 야역(夜役, 야간작업) 시행 등의 대책을 마련했고, 그 결과 왕세제·왕세제빈의 책례는 예정대로 거행될 수 있었다. 『영조왕세제책례도감의궤』의 「의궤질」에는 본 의궤의 편찬 과정이 정리되어 있는데, 그 내용이 소략한 편이다. 이는 김창집을 비롯하여 의궤 청의 당상·도청을 맡은 노론 대신들이 왕세제 대리청정 문제로 탄핵을 받고 유배되면서 의궤 편찬의 마무리 작업을 낭청 김도흡이 혼자 담당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연잉군의 저사 책봉으로부터 신축년 옥사에 이르는 일련의 정치적 상황이 책례 준비 과정뿐만 아니라 의궤 편찬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Yeongjo Wangseje Chaeknyedogam Uigwe, which recorded the investiture ceremony of Yeoning-gun as Wangseje in 1721 and examined the preparation process and its ritual and political meaning. Wangseje means the Crown Prince who was the younger brother of the present king. Yeoning-gun was the younger brother of king Gyeongjong and he was named heir to the king. The decision of Yeoning-gun’s investiture as Wangseje was made on August 20, 1721. And the next day Joseon government appointed officials of Chaeknyedogam and officials for writing Jukchaekmun and Gyomyeongmun. Noron tried to clarify the legitimacy of the investiture of Wangseje they promoted through the investiture ceremony. Accordingly, the officials of Chaeknyedogam and the writers of Jukchaekmun and Gyomyeongmun were mainly composed of Noron bureaucrats. At the same time Cho Tae-gu, a Soron bureaucrat, was appointed as the general manager of Chaeknyedogam, and some Soron officials were appointed as calligraphers of Jukchaekmun and Gyomyeongmun. This was to appease the opposition and obtain consent of Soron. But Soron was concerned that participating in Noron-led investiture ceremony could seem to acknowledge Noron's legitimacy. So Cho Tae-gu resigned from his position as the general manager of Chaeknyedogam, and Choi Kyu-seo and Lee Jung-shin also refused to take positions related to the investiture ceremony. In Joseon dynasty, the only case in which the king's successor was called Wangseje was the case of Yeoning-gun, so the investiture ceremony of Wangseje was actually the first ritual to be held. For this reas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ecedent to use as an example for preparing ceremony was not clear. Accordingly, Chaeknyedogam decided that the most important model was the record of Gyeongjong's investiture ceremony of Crown Prince, which was held in 1690. In addition, the issues that were not sufficiently resolved were supplemented by the records of Gyeongjong's wedding ceremony and Hyojong's crown prince's appointment. The Joseon government decided to move Yeoning-gun's residence to the palace after appointing him as the successor of King Gyeongjong, and confirmed September 6 as the date of entry. In addition, the day of the investiture ceremony of Wangseje was decided on September 26. As a result, the preparatory period for the ceremony was only one month. At that time, the argument strongly protested by Soron, pointing out the unfairness of the discussion and decision process of the successor of King Gyeongjong. So Noron believed that the legitimacy of the determining successor could be damaged if political controversy continued, and wanted to quickly finish the ceremony.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ack of preparation period, the Chaeknyedogam prepared measures such as additional work personnel and night work. As a result, the investitur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could be held as scheduled. The compilation process of Yeongjo Wangseje Chaeknyedogam Uigwe is recorded in the Uigwegil, a part of this Uigwe but the contents are not enough.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after Kim Chang-jip and other Noron ministers in charge of compiling Uigwe were impeached and exiled for the issue of Wangseje's handling of state affairs on behalf of the king GyeongJong, Kim Do-heup completed the final work of the compilation of Uigwe alone. This shows that a series of political situations from the appointing Yeoning-gun as the successor of king Gyeongjong to the act of High Treason in 1721 influenced the compilation of Uigwe as well as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investiture ceremony.

머리말
1. 책례도감 설치와 담당자 인선
2. 책례 준비에 참고한 전례(前例)들
3. 책례 일정과 준비 과정
4. 책례도감의궤의 편찬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