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기업 재고수준 설명을 위한 전통적 재고관리 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한국기업과 해외기업 비교 연구

Can Classical Inventory Management Models Be Used to Explain Aggregate Inventory Levels? Comparison of Korean and Western Firms

유라시아연구
약어 : -
2017 vol.14, no.4, pp.47 - 61
DOI : 10.31203/aepa.2017.14.4.003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연구분야 : 기타사회과학
Copyright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74 회 열람

경영대학의 생산관리 혹은 운영관리 수업에서는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모형과 뉴스벤더(newsvendor) 모형 등이 다루어지며 이는 단일 제품의 재고관리에 유용하게 쓰인다. 간단한 모형을 통해서 학생들은 재고관리 시 고려해야 할 요인과 이들 간의 균형에 대해 배운다. 예를 들어, 경제적 주문량 모형은 수요가 일정한 물건 주문 시, 주문비용(ordering cost)과 재고비용(inventory holding cost)의 균형을 통해서 경제적 주문량을 구할 수 있다고 보여준다. 뉴스벤더 모형에서는 미래 수요가 불확실하고 한 번의 판매기회가 있다고 가정할 때, 최적 주문량 (혹은 생산량)은 과잉비용(overage cost)과 과소비용(underage cost)의 균형을 통해서 얻어진다고 배운다. 이 모형들은 단일 제품의 재고를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경영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간 경영자급 혹은 최고 경영자급 학생들은 단일 제품이 아닌 기업의 재고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하는데 더 관심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 재고수준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는 재고수준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혹은 재고 관련 지표와 기업 성과지표 간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주로 미국 기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395개의 한국 상장회사의 최신 분기별 자료 (2010년부터 2016년까지)를 통하여 경영대학 생산관리 수업에서 전형적으로 다루어지는 단일 제품 재고관리 모형이 기업의 재고수준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았으며, 한국과 미국 기업 간의 재고관리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기업의 큰 특성인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소기업 간의 차이를 본 연구에서 다루었다.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한국 기업의 재고수준은 수요가 커질수록, 기업의 크기가 클수록, 수요의 불확실성이 클수록, 혹은 구매 소요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기업의 재고수준은재고비용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한국 기업의 경우 기업 재고수준은 제품 이익이 증가할수록 혹은 예상치 못한 수요 발생 시 감소하였으며, 이는 미국 기업의 결과와는 반대였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미국 기업보다 보수적인재고관리를 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 기업의 특성에 맞게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소기업 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대기업에 속한 기업의 재고수준은 재고관리 모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었지만,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의 재고수준은 그러하지 못하였다. 중견기업과 중소기업 생산관리 담당자의 재고관리에 관련된 교육이 필요해 보이며 이는 해당 기업의 재고관리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학문적 공헌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적인 단일 제품 재고관리 모형을 통해 얻은 대부분의 통찰은 한국 기업의 재고수준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보였다. 둘째, 외국 기업 자료를 바탕으로 한 발견은 한국 기업 자료를 통한 추가 검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였다. 기초적인 재고관리 모형은 전반적으로 관리자급 혹은 최고경영자급 학생들에게도 유용한 이론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지만, 미국 기업 자료 분석을 통한 결과를 한국 기업에 모두 적용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즉, 한국 기업의 재고수준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처럼 한국 기업 자료를 통한 추가 검증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Classical inventory management models which have taught in business schools (e. g., Economic Order Quantity model and newsvendor model), consider individual products. Using these simple models, students can learn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inventory management, and trade-offs between the factors. For example, the Economic Order Quantity model shows that the ordering cost and inventory holding cost should be balanced when the demand rate is constant. The newsvendor model explores a situation in which demand is uncertain and there is one selling season. The model shows that the overage cost and the underage cost are th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ciding ordering or production quantity, and thus a firm’s inventory. These models focus on how to manage or control single product inventory. However, managers and executives also want to learn how to explain changes in aggregate(i. e., firm-level) inventory levels. In this study, we analyze how useful classical inventory management models are to understand behavior of aggregate inventory levels. In the literature, most studies focus on to show that how inventory levels change as time goes by or the studies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inventory factors and firm performance factors, such as return on sales or return on assets. In this study, we use information on 395 public Korean from 2010 to 2016, which include 110 firms listed on KOSPI 200, to show how the classical inventory management modes can be used to explain aggregate inventory levels and to explore differences on inventory management between Korean and the U. S. firm. Moreover, we investigate that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among firms that belong to conglomerates (i. e., chaebols) and medium- and small-sized firms. Similar to a previous study using data from the U. S. firms, we show that the aggregate inventory level increases as demand or firm size increases. In addition, the aggregate inventory level increases as demand uncertainty or lead time increases, and it increases as inventory holding costs decrease. Howeve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the aggregate inventory level decreases as the gross margin increases or a positive demand shock exists. This is because Korean firms tend to minimize inventory holding costs rather than maximizing profit from uncertain demand compared to the U. S. firms. In other words, the Korean firms manage inventory in more conservative ways than the U. S. firms, or the U. S. firms manage their inventory more aggressively than the Korean firms. When we compare inventory levels among firms that belong to conglomerates (i. e., chaebols) and medium- and small-sized firms, we find that inventory levels of firms in conglomerates can be mostly explained using classical inventory management models; whereas, those of medium- and small-sized firms can be partially explained. Hence, it seems that the managers in medium and small-sized firms need to learn inventory management models, which enables better inventory control for the corresponding firms. Therefore,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we show that managerial insights obtained from single product inventory management models are useful to explain aggregate inventory levels. Second, findings from foreign firm data should be verified using Korean data to apply the findings to Korean firms. In other words, many findings from the U. S. firm data can be useful to explain Korean firms, but verification of findings using Korean firm data must be accompanied.

전통적 재고관리 모형, 기업의 재고수준, 한국 기업, 대기업
classical inventory management models, aggregate inventory levels, Korean firms, conglomerates

  • 1. [학술지] 곽진경 / 2016 / 소매업 운영 성과 분석의 비교 연구 / 유라시아연구 / 13 (2) : 145 ~ 2 kci
  • 2. [기타] 통계청 / 2010 / 산업(업종) 및 국가분류표
  • 3. [단행본] Cachon, G. P / 2009 / Matching Supply with Demand: An Introduction to Operations Management / McGrawHill/Irwin
  • 4. [학술지] Chen, H. / 2005 / What actually happened to theinventories of American companies between 1981 and 2000 / Management Science / 51 (7) : 1015 ~ 7
  • 5. [학술지] Chen, H. / 2007 / U. S. retail and wholesale inventoryperformance from 1981 to 2004 / Manufacturing Service and Operations Management / 9 (4) : 430 ~ 4
  • 6. [단행본] Chopra, S. / 2010 /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planning and operation / Pearson
  • 7. [학술지] Gaur, V. / 2005 / An econometric analysis ofinventory turnover performance in retail services / ManagementScience / 51 (2) : 181 ~ 2
  • 8. [학술지] Rajagopalan, S / 2001 / Have U. S. manufacturing inventoriesreally decreased? An empirical study / Manufacturing Service and Operations Management / 3 (1) : 14 ~ 1
  • 9. [학술지] Rumyantsev, S. / 2007 / What can be learned from classical inventory models? A cross-industry exploratory investigation / Manufacturing and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 9 (4) : 409 ~ 4
  • 10. [단행본] Van Mieghem, J. A. / 2008 / Operations Strategy / Dynamic Id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