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82.78
18.226.82.78
close menu
KCI 후보
한국철학의 정체성과 한국철학사의 관점
The Identity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김형찬 ( Kim Hyung-chan )
한국사상과 문화 100권 1083-1107(25pages)
DOI 10.31037/KTAC.100.36
UCI I410-ECN-0102-2021-100-000529383

한국철학은 이제 근대 학문의 한 분야로서 자리를 잡았지만, 서구와 일제의 침탈을 겪고 그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그 성격에 다소 편중되거나 왜곡된 면이 있다. 서세동점 시대에 서구 중심적 관점에 의해 설정된 ‘문명 vs 야만’의 구도에 맞서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서구 학문의 관점에 따라 한국철학의 범위와 논제가 제한되었고, 일제 식민사관의 극복이라는 과제 속에서 철학사상의 ‘고유성’에 지나치게 집착해 왔다. 그럼에도 한국철학 분야의 연구는 그 동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과 축적을 이루었다. 그 연구 성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철학사’에 담길 만한 대표적인 ‘한국철학’들의 특성과 철학사적 가치에 주목한다면, 한국철학사의 관점, 즉 철학사의 평가기준을 세울 수 있고, 그 관점은 곧 한국철학의 본질적 특성, 즉 한국철학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원효, 지눌, 퇴계, 율곡, 다산, 혜강 같이 대표적인 한국철학자로 평가되는 학자들이 이룬 업적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들은 모두 현실의 당면과제에 대해 당대에 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지식들을 적극 수용하고 활용하여 대안을 모색하였고, 그 치열한 모색과정에서 이룬 성과들이 한국철학사의 대표적인 성취로 평가된다. 그 동안 한국철학 분야에서 주목되어 왔던 심성론 혹은 존재론 분야의 치밀한 개념적 논의는 바로 그러한 성과들의 일부이며, 그것은 한국철학이 철학이라는 학문분야로 인정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한편 원효에서 혜강에 이르는 한국철학자들이 한반도에서 당면했던 현실의 과제들과 그에 대한 문제의식들은 그들의 성과가 한국철학일 수 있는 특수성에 해당할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철학사는 한반도의 현실에서 한국인들이 당면했던 문제들에 대해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그 논의의 형식과 수준이 근대학문으로서의 철학분야에서 인정될 만한 정도에 이른 것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것이 한국철학인 이유는 바로 그러한 성과들이 한국인들이 겪어 온 역사의 현실 속에서 이루어진 문제설정과 대안모색의 산물이라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Although Korean philosophy is acknowledged in modern academia, it has been distorted in its process of experiencing and responding to invasions by the West and Japan. In the process of confronting the composition of 'civilization vs. barbarism’ set by the Eurocentric point of view when its influence was spreading, the range and topic of Korean philosophy were limited to these viewpoints in addition to an undue fixation with the "uniqueness" of philosophical thought in order to overcome Japanese colonialism. Nonetheless, research in Korean philosophy has made substantial progres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research,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and philosophical historical values of Korean philosophy which are worthy of being mentioned in its history could illustrate the evaluation of history and reveal its essential character and identity. In view of thi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s of prominent Korean scholars and philosophers such as Wonhyo, Jinul, Toegye, Yulgok, Dasan, and Hyegang. Each actively accepted and applied their knowledge in their own contemporary problems to seek alternative solutions. Such accomplishments in the intense process of reflection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accomplish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The detailed conceptual discussion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or ontology,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Korean philosophy, is part of such achievements and is the foundation on which Korean philosophy stands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problems of reality faced by Korean philosophers in the time of Wonhyo to Hyega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perception of these problems gives uniqueness to their achievements, which are therefore mentioned in Korean philosophy. In other words,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consists of discussions in the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that have been faced by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of which the level and form merit its recognition as philosophy as a modern academic field. Furthermore, this is the reason why ‘Korean’ philosophy is considered a product of posing problem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solutions within the realities of Korean history.

Ⅰ. ‘한국철학’ 혹은 ‘한국사상’
Ⅱ. 고유성과 정체성
Ⅲ. 한국철학의 ‘특성’
Ⅳ. 한국철학의 성공과 실패
Ⅴ. 맺음말: 정체성과 관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