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탈북 대학생 대상 사회·문화적 적응을 돕기 위한 미술관 관람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in an Art Museum Visit Program to Support Sociocultural Adaptation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 문화교류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12권 제5호 (2023.09)바로가기
  • 페이지
    pp.133-157
  • 저자
    이나리, 조은식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6083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design an art museum visit program to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To conduct the program, six participants were selecte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program directions through supplementary point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conducted. As a result, ‘difficulties of college life’, ‘freshness of viewing culture and arts’, ‘special experiences of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and regions outside of school’, ‘various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experience of mind healing’, ‘feeling the necessity of cultural life’, ‘discovering the meaning of appreciating art works’, ‘continuity of program’, ‘program diversity’ were identified in 9 upper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conclusion,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art museum visit program on th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and other effectiv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탈북 대학생의 사회‧ 문화적 적응을 돕기 위한 미술관 관람 프로그램을 설 계해 연구 참여자 6명을 모집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효과성과 보완점을 알아보고 향후 프로그램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대상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을 중요한 주제 와 범주를 찾아 분석을 실시 했다.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분석 결과 ‘대학생활의 어려 움’, ‘문화예술관람의 신선함’, ‘학교 외 문화예술기관 및 지역에 대한 색다른 경험’, ‘소 통의 다양한 경험’, ‘마음치유를 경험’, ‘문화생활의 필요성을 느낌’, ‘미술작품 감상의 의 미를 발견함’, ‘프로그램의 지속성’, ‘프로그램의 다양성’의 최종 9가지 상위 범주에 대한 22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 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미술관 관람 프로그램이 탈북 대학생 연구 참여자의 사회‧ 문화적 적응과 그 외 어떤 의미를 주었는지 논의하고 프로 그램의 보완점을 통해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문제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탈북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2. 미술관 관람의 심리·사회적 효과
Ⅲ. 연구 설계
1.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특성
2. 프로그램 내용
3.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미술관 관람의 필요와 관심
2. 미술관 관람의 사회‧문화적 경험
3. 미술관 관람의 긍정적 의미
4. 지속적 참여에 대한 기대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나리 [ Nari Lee | 숭실대학교 강사 ] 제1저자/교신저자
  • 조은식 [ Eunsik Cho | 숭실대학교 교수 ] 공동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ing]
  • 설립연도
    2012
  • 분야
    복합학>감성과학
  • 소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는 문화의 국제적 교류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해외지역문화연구의 교류와 관련된 제반이론과 정책을 연구하여 학문적 발전과 정책의 제시 및 산학활동을 추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 문화교류연구)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간기
    격월간
  • pISSN
    2287-2825
  • 수록기간
    2011~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31 DDC 301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 문화교류연구) 제12권 제5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